산행기(2000년 부터)

1499 대전 만인산538m~정기봉580.3m,상소동산림욕장 2025.02.18. 화요일 맑음

산야55 2025. 2. 19. 09:37

대전 만인산538m~정기봉580.3m,상소동산림욕장

2025.02.18. 화요일 맑음

참석인원 : 마나님이랑 둘이서

 

청주 집 08:07 강서 하이패스 남대전 톨게이트(통행료 3200) 08:47 만인산 3주차장(해발 약220m) 09:00 ~09:10 임도길 입구 이정표(0.219km, 240m) 09:14 빙판 임도길 따라 진행 임도길 끝 이정표(1.72km, 430m) 09:47 좌측으로 잠시 올라 만인루 정자(1.78km, 445m) 09:50 ~09:57 만인산 3번 표지목(2.13km, 485m) 10:09 만인산 정상(삼각점, 조망도, 2.27km, 538m) 10:17 ~10:22 좌측으로 진행 만인산 4번 표지목(2.47km, 515m) 10:28 돌무더기 10:30 만인산 5번 표지목(의자, 2.70km, 460m) 10:34 내리막 데크계단(2.84km, 435m) 10:38 데크계단 끝 이정표(만인산 0.6km, 태실 1.1km, 우 목소 임도 입구 3.4km, 2.99km, 390m) 10:43 좌측 하산로 삼거리 이정표(좌 대전천 발원지 0.2km, 만인산 0.8km, 태실 0.8km, 3.32km, 345m) 10:49 이정표 삼거리봉(좌측으로, 태실 0.6km, 만인산 1.0km, 만인산6호 표지목, 3.51km, 360m) 10:51 내리막 침목계단 만인산 7번 표지목(3.89km, 340m) 11:00 출렁다리 태조 태실(4.13km, 320m) 11:10 오르막길 삼거리봉(의자, 좌측으로 ,4.65km, 385m) 11:22 잠시후 이정표 삼거리(좌 데크길, 태실 0.4km, 푸른학습원 0.2km, 정기봉 0.9km, 4.70km, 380m) 11:23 이정표 삼거리(우 추부 마전, 태실 0.5km, 정기봉 0.8km, 4.90km, 380m) 11:27 태봉산 3번 표지목앞 쉼터(의자1, 5.07km, 400m) 11:30 ~11:34 오르막 통나무 계단 짧막한 침목계단 다수 의자1 11:41 오르막 데크계단 입구(5.38km, 480m) 11:43 우꺽임 능선 이정표(정기봉 0.2km, 5.52km, 510m) 11:48 오르막 침목게단 -데크계단 쉼터(의자2, 5.61km, 545m) 11:53 오르막 데크계단 - 정기봉 정상(이정표 제3주차장 1.2km, 산불감시탑, 안내도, 5.72km, 580m) 11:57 ~12:08 내리막길 살짝 올라 봉(6.41km, 415m) 12:30 작은 돌탑(6.68km, 335m) 12:36 카페앞 도로 12:50 3주차장(7.20km, 220m) 12:52 ~13:00 차량이동 황가옥 소머리국밥집(1.1000, 일반 9.000=2만원) 13:01 ~13:30 차량이동 상소동 산림욕장 주차장 13:40 ~~2.27km ~~ 상소동 산림욕장 주차장 14:29 ~14:37 남대전 톨게이트 14:42 강서 하이패스(통행료 3200) 15:10 ~ 청주 집 15:20

~~~~~~~~~~~~~~~~~~~~~~~~~~~~~~~~~~~~~~~~~~~~~~~~~~~~~~~~~~~~~~~~~~~~~~~~~~~~~~~~~~~~~~~~~~~

만인산(萬仞山) 537.8m

시의 남쪽 동구 하소동과 금산군 추부면에 걸쳐 있는 산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진산)군의 동쪽 20리에 있다. 성봉(星峯)이 있는데 땅이 두텁고 물이 깊으며 봉우리가 기이하고 빼어나게 우뚝 솟아 모양이 마치 연꽃같이 생겼다. 우리 태조의 태를 묻었다.”라고 하여 관련기록이 처음 등장한다.

그 만큼 산이 깊고 높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산으로, 일설에는 수많은 골짝기가 모여 산을 이루어서 그렇게 불렀다고도 전해진다. [여지도서](진산)에는 태실산(胎室山)은 군 동쪽 30리에 있다.”고 하여 태조 이성계의 태실이 안치되어 있던 만인산을 태실산으로 기록하고 있다.

{1872년 지방지도}(진산)에는 만인산 아래 태조대왕 태실로 표기된 석실이 그려져 있다. 하소동에서 금산군 추부면으로 넘어가는 고개를 태봉재라 한것도 이에 연유한 것이다.

만인산은 고조선 때부터 정상에 봉수대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태실(胎室)이 있는 산이라고 해서 태실산(胎室山), 또는 태봉산으로 부른다.

 

태조태실

충남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태봉산(만인산) 자락에 위치한 태조대왕 태실은 1989420일 충청남도 유형 문화재로 지정 되었다. 태조태실은 조선을 건국한 태조대왕(이성계)의 태를 안치했던 곳 입니다. 태조가 조선을 건국할때 국책사업 으로 제일 먼저 추진했던 사업이 자신의 태를 안치할 태실을 정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선택된 곳이 태봉산(만인산)이었으며, 지금까지 오랜기간 동안 이곳에 자리하게 되었습니다.

태조대왕 태실은 팔각형의 난간 속에 팔각형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함경도 용연에 있던 태조의 태를 를 지금의 태실이 있는 태봉산(만인산)으로 옮겼다가 일제 강점기 일본 사람들이 경기도 원당동에 있는 서삼릉에 이장 했는데 지금은 고궁 박물관에 안치되어 있습니다. 안타까운 것은 태항아리가 서삼릉 으로 이전되고 태조태실은 크게 훼손되어 방치 되다가 뜻있는 지역주민 들이 원래 있던 곳에 태실을 복원하려 했으나 땅 소유자가 복원을 불허하여 토지를 매각하지 않아 지금의 태실 자리로 옮겨져 석조물만 복원 되었습니다.

태봉산(만인산) 남쪽 양지바른 곳에 태조대왕 태실이 자리 잡게 된 이유는 풍수지리에 의해서라고 합니다.

고려말, 조선초 태조의 명으로 풍수지리에 능한 조정의 한 관료가 이 산을 지나면서 "산의 모양이 연꽃이 만발한것 같고 계곡의 물이 한곳에 모여 흐른다"라고 극찬한 이후, 태봉산을 그린 그림과 함께 태조에게 보고하여 이곳으로 정하였 다고 합니다.

태실을 태봉산(만인산) 으로 정한 후 태조가 함경도 고향에 있는 태를 태봉산에 옮겨와 태자의 태와 께 안치하여 나라의 태평성대를 염원 하였다고 합니다. 비석 전면에는 "태조대왕 태실" 이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고, 후면에는 중건한 시기 "강희28329일 중건"(강희 28년은 조선숙종 15, 서기 1689)가 새겨져 있습니다.

태조태실에 있는 거북이가 목을 오른쪽으로 돌려 보고 있는 데에는 재미있는 이야기가 전해내려 옵니다.

이성계의 성씨인 "오얏 이()"는 나무목에 아들자를 써서 "나무의 아들" 이라는 뜻인데 나무를 제압하는 것이 쇠() 기운이랍니다. 그런데 쇠 기운이 서린 곳이 전북 진안 마이산으로, 그곳의 쇠 기운을 제압할 불() 기운이 가장 성한곳을 찾다 보니 태봉산(만인산) 자락 이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태실이 태봉산(만인산) 으로 오게 되었고, 거북이가 목을 돌려서 노려보는 방향이 진안에 있는 마이산이라고 합니다. 태조의 태로 마이산의 쇠기운을 막는다는 의미입니다.

충청남도청

 

정기봉(正起峰),580M)은 만인산과 쌍벽을 이루는 산으로, 조선시대에 한성에서 보내온 봉신을 받아 영남
으로 보냈다는 봉화대 터가 있는곳으로, 대전에서 식장산다음으로 높은산이다. 소위 만인산이 우의정이라
면 정기봉은 좌의정으로 일컬어지며, 대전 둘레길 3코스가지나가는 산이다.
한편, 정기봉은 전 구간이 능선 육산으로 흙산이다. 육산의 공통적 특징으로 숲길이 울창하여 여름철 더위를피
해 시원하게 산행을 즐기기에 좋다. 다만 빽빽한 나무들로 조망은 없다.대전119에선 이 산을 태봉산으로 만인
산과 구분 짓고 있다.

 

만인산 자연휴양림은 만인산은 조선태조 이성계의 태실(胎室)이 있고 영호남을 잇는 봉수대(烽燧臺)가 있어
옛날부터 경승지로 알려져 있는 등 지리적 역사적으로 향토문화가 서려있는 유서(由緖) 깊은 곳이다.
1958년도부터 충청남도가 만인산일대 60여만 평의 산림청소관 국유림을 분수림으로 설정하여 30년간 적극
적인 조림과 육림으로 울창하게 가꾸어 186m²으로 선진임업국 수준의 임목을 보유한 산림이다. 1989
년도 우리 시가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만인산국유림 60여만 평을 충청남도로부터 무상으로 인수받아 시민들의
보건휴양 증진과 정서 함양에 기여하고자 만인산 자연휴양림으로 지정하였으며, 만인산의 대자연은 자연환경
체험학습 공간 제공과 산림의 공공적, 공익적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상소동산림욕장

상소동 산림욕장은 만인산과 식장산 자락 중간지점, 대전역에서 금산방향으로 약 10km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산림욕장으로 가는 길에 버즘나무 가로수 터널이 아름다움을 더해주고 있다. 자연체험과 휴양을 할 수 있는 각종 시설이 조성되어 있고, 특히 수많은 돌탑이 조성되어 있어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가족이나 연인 등 각계각층에서 가족의 건강이나 여러 가지 염원을 담은 돌탑을 쌓을 수 있는 공간이 있어 뜻깊은 기회를 제공하여 주기도 한다. 또 봄부터 가을까지 수많은 야생화를 감상할 수 있으며, 가벼운 마음으로 찾아와 산책과 등산과 휴양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이용시간

[산림욕장] 입장료 무료
하절기 09:00~20:00 동절기 09:00~19:00
[물놀이장]
09:00~17:00
, 목요일은 16:00까지 운영
우천 등으로 물놀이장 운영이 어려울 경우 이용에 제한

쉬는날 연중무휴

 

등산로

- 1코스(내부산책코스) 1.0km/ 30

: 산림욕장입구 물놀이장 돌탑광장 물놀이장 돌탑광장 잔디광장 산림욕장입구

- 2코스(외곽등산코스) 2.5km3시간 외곽등산코스

: 산림욕장입구 산림욕장정상 물놀이장 잔디광장 산림욕장입구

- 3코스 5.0km/ 4시간 30

: 산림욕장입구 산림욕장정상 동구청소년수련관(지봉산) 만인산푸른학습원(정기봉) 만인산
- 4코스 19.0km/ 8시간

: 산림욕장입구 산림욕장정상 닭재 곤룡터널 낭월임도정상(철탑) 식장산 세천유원지

~~~~~~~~~~~~~~~~~~~~~~~~~~~~~~~~~~~~~~~~~~~~~~~~~~~~~~~~~~~~~~~~~~~~~~~~~~~~~~~~~~~~~~~~~~~~

청주 집 08:07

이번 산행은 가까운 대전 만인산휴양림 주변으로 있는 만인산과 정기봉을 한바퀴 돌아 내려오는 산행으로 잡았다. 만인산과 정기봉은 보만식계 할때도 지난 곳이고, 식장지맥한다고 할 때도 거쳐간 산이다. 오늘은 간단하게 만인산 휴양림 첫머리 제3주차장 도로 건너 아래쪽 주차장에 차를 주하고 임도를 따라 만인루, 만인산, 정기봉으로 한바퀴 도는 코스를 돌아 본후 식당에서 점심식사를 한후 상소동산림욕장을 돌아보고 오는 일정으로 잡았다. 오늘은 거리가 가까워 집에서 천천히 준비를 하고 0807분 출발을 한다.

 

만인산 3주차장(해발 약220m) 09:00 ~09:10

집을 출발하여 강서 하이패스로 진입하여 경부고속도로에 진입하여 달리면 대전을 지나고 대전 비룡분기점에서 우측으로 빠져 통영방향 중부고속도로를 따라 진행하면 남대전 톨게이트가 나온다. 통행료 3200원이 나온다. 이후 우측으로 진행을 하면 얼마가지 않아 우측으로 추부 마전방향으로 가는 구도로가 나온다. 이 도로를 따라 들어가면 상소동 산림욕장 입구를 지나고, 하소동을 지난후 좀 더 오르면 만인산 휴양림 입구 좌측으로 카페가 나오고 앞쪽으로 주차장이 있지만 도로 우측에 있는 화장실이 있는 주차장에 주차를 시킨다. 주차장이 얼음판이라 상당히 미끄럽다.

 

만인산 정상(삼각점, 조망도, 2.27km, 538m) 10:17 ~10:22

주차장에 주차후 산행준비를 마친후 무장애 데크길을 따라 가다가 임도길 삼거리 이정표가 있는 곳으로 넘어가 빙판으로 덥여 있는 임도길을 따라 가기로 한다. 여기 이정표에 우측 능선으로 가면 정상까지 1.4km, 임도길을 따라 가면 1.8km, 좌측으로 만인산 휴게소 0.6km가 적혀 있다. 이제 임도길을 따라 천천히 오르기 시작한다. 눈이 녹다가 얼어 붙어 빙판길이다. 지그재그로 이어지는 임도길을 따라 오르다. 안되겠다 싶어 마나님만 간단한 아이젠 가져온겨 착용을 하고 오른다. 이렇게 35분 가량을 오르니 임도끝 이정표에 닿는다. 정상 0.4km, 대전천 발원지 0.3km, 3주차장 1.5km가 적혀있다. 여기서 좌측으로 잠시 올라서 만인루 높다란 정자에 올라선다. 이곳에서 간단하게 커피한잔마시고 간다. 날씨가 다시 추워지고 바람이 불어 오래있지는 못하겠다. 다시 내려서서 임도 끝에 닿고 능선을 따라 오른다. 여기도 얼어붙어 있는 곳이 많아서 마님 간단한 아이젠이라고 착용하길 잘했다. 이렇게 올라서면 푸석바위지대를 오르고 만인산 3번 표지목을 지나후 만인산 정상에 닿는다. 정상석은 따로 없으며 만인산 봉화대터 안내문이 있고 삼각점이 있으며 대전둘레산길 안내도와 조망도가 있다. 의자 2개가 설치되어 있어 잠시 앉았다 장기봉으로 향한다.

 

태조 태실(4.13km, 320m) 11:10

만인산 정상에서 좌측으로 진행을 하면 서서히 내려서는 길을 따라 진행한다. 6분여 진행하면 만인산 4번 표지목이 나오고 2분후 예전에도 있었던 무너진 돌무더기가 나온다. 여기부터 좀 더 가파르게 내려서기 시작하면 만인산 5번 표지목에는 의자가 있으며 이후 4분여 더 내려서면 길게 이어지는 데크계단길을 따라 그 끝에 이정표에 닿는다. 여기 이정표에는 만인산 0.6km, 태실 1.1km, 우측으로 목소 임도입구 3.4km가 적혀 있다. 여기부터는 길이 평탄해지며 걷기 좋은 널찍한 길을 따라 간다. 널찍한 능선길을 따라 6분여 진행하면 좌측으로 하산로가 있는 삼거리 지점 이정표가 나온다. 좌측으로 대전천 발원지 0.2km, 만인산 0.8km, 태조태실 0.8km가 적혀 있다. 여기서도 길은 상당히 좋다. 잠시 가면 좌측으로 우회길이 있는 지점에서 직진방향으로 가면 이정표가 있는 삼거리봉에 닿는다. 태실 0.6km, 만인산 1.0km가 적혀 있으며 우측 능선으도 길이 보인다. 이곳에서 좌측으로 내려서는 침목계단을 따라 내려서고 만인산 7번 표지목을 지나면 10여분 널찍한 길을 따라 진행하여 계곡을 건너는 세줄타기 출렁다리가 나온다. 현재 줄이 낡아 위험하니 가지말라는 것 같다. 갈때는 금줄이 없었는대 나올때는 금줄이 쳐져 있다. 세줄을 아래위로 연결하는 가느다란 줄이 많이 끊어져 있으며 굵직한 3가닥 줄도 낡아 위험해보인다. 그래도 무사히 우리둘은 건넜다. 좌측으로 계단을 이용하면 된다. 이렇게 건넌후 아래쪽으로 잠시 내려서면 태조 태실이 나온다.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태()를 안치했던 곳으로, 본래 함경도 용연(龍淵) 있었으나 태조 2(1393) 당시 전라도 완주군 진동현이었던 현재의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로 옮겨왔다. 태실은 몇 차례 중수 및 개수되었으며, 일제강점기인 1928년 조선총독부에서 태실을 훼손하여 태 항아리를 창덕궁으로 옮겨갔고 1993년 지역 주민들이 남은 석비와 석물을 수습하여 현재의 위치에 복원하였다. 비석 전면에는 '태조대왕태실'이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고, 후면에는 중건한 시기(1689)가 새겨져 있다.”

 

정기봉 정상(이정표 제3주차장 1.2km, 산불감시탑, 안내도, 5.72km, 580m) 11:57 ~12:08

태조 태실에 다시 올라와 진행을 하면 오르막길을 따라 진행한다. 10분을 좀 더 오르면 의자가 있고, 작은 대전산 둘레길 표지판이 있는 삼거리봉에 닿는다. 여기서 좌측으로 진행을 하면 잠시후 이정표 삼거리에 닿는다. 좌측으로 데크계단으로 연결이 되는 푸른학습원으로 0.2km, 정기봉 0.9km가 적혀 있으며 대전둘레산길 안내도가 있다. 여기서 계속 정기산방향으로 가면 4분후 우측으로 추부 마전으로 등산로가 있는 삼거리 이정표에 닿는다. 태실 0.5km, 정기봉 0.8km가 적혀 있다. 여기서 좀더 진행하여 태봉산 3번 표지목 조금 앞쪽에 있는 의자에서 사과 몇 쪽으로 입가심을 하고 다시 진행을 하면 서서히 올라서서 오르막 통나무계단을 따라 오르고 짧막한 침목계단이 군데군데 다수 있는 지점을 따라 올라 오르막 데크계단 입구에 닿는다. 조금 길게 이어지는 데크계단을 따라 오르면 그 끝에서 능선을 우측으로 방향이 꺽이며 이정표에 정기봉 0.2km가 적혀있다. 우측으로 방향이 꺽이며 침목계단을 오르고 데크계단을 따라 오르면 중간쯤에 의자 2개가 있는 쉼터를 지나고 마지막 오르막 데크계단을 따라 오르면 정기봉 정상에 닿는다. 산불감시탑이 있으며 대전산둘레길 안내도와 정기봉 봉화대터 안내문이 있으며 이정표에 태조태실 1.3km, 지봉산 0.7km, 좌측으로 제3주차장 1.2km가 적혀 있다. 정기봉 정상에 올라서니 날씨도 따스해졌다. 잠시 쉬면서 치즈빵으로 간단하게 간식을 든다. 앞쪽으로는 서대산이 높이 솟아 있고 대전둘레산길을 따라 멀리 식장산의 안테나도 보인다.

 

3주차장(7.20km, 220m) 12:52 ~13:00

이제 제3주차장까지 내려서면 산행은 끝이다. 내려서는 첫머리는 눈이 아직도 많은 편이지만 아이젠을 착용할 정도는 아니다. 이렇게 내려서면 눈이 없는 내려설만한 길도 있지만 길은 상당히 가파른편이다. 대략 22분을 내려서니 살짝 올라서 해발 약415봉에 닿는다. 이후 6분여 내려서니 작은 돌탑이 나오고 가파르게 내려서는 길을 따라 천천히 진행을 하니 좌측으로 만인산 휴양림이 보이기도 하고 점차 내려서서 도로가 보이기 시작하며 마지막 데크계단을 따라 내려서면 우측으로 카페가 보이고 세멘트 임도길에 닿는다. 여기 이정표에 정기봉 1.1km, 유아숲 체험원 0.8km, 3주차장 0.1km가 적혀 있다. 임도에서 계단을 따라 주차장 좌측 모퉁이로 내려서는 길이 있다. 이곳 이정표에 정기봉 1.15km가 적혀 있다. 이렇게 만인산 휴양림으로 가는 도로에 닿고 도로를 건너 계단을 내려서면 빙판을 이루고 있는 화장실이 있는 주차장에 닿는다. 이렇게 하여 만인산에서 정기봉으로 이어지는 산행을 마친다.

 

상소동 산림욕장 주차장 13:40 ~~2.27km ~~ 상소동 산림욕장 주차장 14:29 ~14:37

만인산 제3주차장에서 산행을 정리하고 1분여 이동을 하면 좌측으로 황가옥소머리국밥집이 나온다. 11.000, 보통 9000원이다. 이렇게 2그릇시켜서 점심식사를 한후 10분정도를 이동하면 상소동 산림욕장 주차장에 닿는다. 이곳에서 다리를 건너면 얼음전시장이 나오는대 아직도 다 녹지를 않아 그래도 볼만하다. 이후 쭈욱 올라가면 묘하게 쌓아 올린 탑들이 있는 곳을 지나 쭈욱 올라가면 커다란 돌탑과 사각정자가 있는 곳에서 되돌아서 반대편길을 따라 내려서면 좌측으로는 작은 저수지 우측으로는 대부분이 돌탑을 쌓아 놓은 곳이다. 이렇게 돌아 내려오니 거리가 2.27km가 나왔으며 시간은 대략 50분이 소요되었다.

 

돌아오는 길

상소동 산림욕장을 출발하여 5분후 남대전 톨게이트로 진입하여 고속도로를 따라 진행하여 30여분을 진행하여 강서 하이패스로 빠지니 통행료 3200원이 나온다. 이후 집으로 들어오는 길도 차량이 많을때가 아닌 시간대라 10분이 소요되어 집에 도착을 하니 1520분이다. 오늘은 가까운 대전의 만인산에서 정기봉 산행을 하고 상소동산림욕장의 얼름전시장과 돌탑을 구경하고 돌아왔다.

 

산행시간 : 3시간 42분 소요

산행거리 : 7.20km

 

상소동 산림욕장 : 2.27km, 48분 소요

 

연료비 : 15000

점심식사 : 2만원

통행료 : 6400(왕복)

~~~~~~~~~~~~~~~~~~~~~~~~~~~~~~~~~~~~~~~~~~~~~~~~~~~~~~~~~~~~~~~~~~~~~~~~~~~~~~~~~~~~~~~~~~

대전 만인산~정기산, 상소동 산림욕장

청주 ~대전시 하소동 산49(산내로177, 만인산 공원) : 63km, 1시간 3600

만인산공원 ~상소동 산림욕장(대전 동구 상소동 산1-1) : 5.8km, 10

 

만인산자연휴양림3주차장 - 정기봉 - 태조태실 - 태봉고개 - 만인산 - 만인루 - 대전천발원지 - 임도 - 태봉고개 만인산휴게소

거리 및 소요시간 : 6.3Km 2시간 30분 소요

 

***만인산 산행코스는 제3주차장~사방댐~만인루~만인산~태조태실~정기봉~3주차장 원점으로 6.1km이고 왕에게로 가는 길만 산책하려면 2.6km가 됩니다.

 

정기봉(580m) - 만인산(537m)

산행일: 20230926일 화요일 산행시날씨: (아주 조금씩)

들머리: 만인산공원 버스정류장(A TWOSOME PSACE주차장)--대전광역시 동구 산내로190(하소동458-1)

날머리 : 추부터널입구 17번국도변--대전광역시 동구 하소동 807-5

산행코스: 만인산공원버스정류장 옆 주차장-정기봉-태조대왕태실및Y자출렁다리-만인산-만인루-대전천발원지-봉수레미골

-만인산휴게소-추부터널입구 17번국도변 (6.07km)

소요시간: 2시간 29(10:51-13:20)휴식.식사시간없음

 

산행코스 : 만인산 자연휴양림 제3주차장 사방댐 보문산 갈림길 만인산 태봉고개 정기봉 3주차장 원점회괴 고스

산행거리 5.6km, 산행시간 3시간

 

상소동 산림욕장

- 1코스(내부산책코스) 1.0km/ 30

: 산림욕장입구 물놀이장 돌탑광장 물놀이장 돌탑광장 잔디광장 산림욕장입구

- 2코스(외곽등산코스) 2.5km3시간 외곽등산코스

: 산림욕장입구 산림욕장정상 물놀이장 잔디광장 산림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