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안 명도봉863m, 금산 마이산627.8m
2023.11.24.금요일 맑음
참석인원 : 나홀로 산행
청주 집 05:37 –서청주 톨게이트 05:50 –추부톨게이트(통행료 3700원) 06:23 –금산 06:37 –운일암 반일암 주차장 07:07 ~07:13 –캠핑장 끝 등산안내도(0.580km, 해발 약290m) 07:24 –임도길 –농막지나며 폐임도길 –폐임도에서 우측으로 진입(1.11km, 약345m) 07:36 –급경사 오르막길(낙엽길) -능선끝 바위 위(1.30km, 약430m) 07:47 –오르막 능선길 –바위 전망대(1.54km, 약535m) 07:58 –바위사이 쇠사슬 –쇠사슬 2.3.4 –바위봉(1.65km, 약580m) 08:05 –바위전망대 08:07 –바위봉(우측으로 내려가는 곳 쇠사슬 설치됨, 1.70km, 약583m) 08:10 –안부(1.76km, 약570m) 08:14 –좌사면길 –급경사 오르막 쇠사슬 –능선(좌 꺽임) -오르막 능선길 –오르막 조릿대길 –오르막 육산길 –바위지대 쇠사슬(2.15km, 약700m) 08:30 –쇠사슬 2.3 –이정표 삼거리(2.20km, 약720m) 08:34 –좌사면으로 –스텐철주,쇠사슬설치 바위넘고 –쇠사슬, 목봉,로프길(오르막길) -바위골짜기 오르막 목봉,로프길 –급경사오르막 바위지대 스텐봉,쇠사슬 길 –쇠사슬(우), 목봉,로프(좌) 오르막길 –바위전망대(2.40km, 약800m) 08:51 –목봉,로프 오르막길1.2 –명도봉 정상석(2.58km, 863m) 08:59 ~09:08 –목봉,로프길 – 바위전망대 09:11 –내리막 목봉,로프길(장) -내리막 조릿대, 바윗길 –급경사 내리막 너덜지대 –돌계단(3.22km, 약670m) 09:31 –이정표 삼거리(우측으로, 3.35km, 약620m) 09:36 –오르막길 –능선(좌측으로, 3.41km, 약640m) 09:39 –내리막 목봉,로프길 –이후 서서히 내려서는 육산길(조릿대길) -통나무계단(3.68km, 약560m) 09:44 – 조릿대길 끝(3.74km, 약540m) 09:46 –이후 육산길 –이정표 삼거리(4.04km, 약440m) 09:52 –직진방향으로 잠시 진행 운일정(4.14km, 약425m) 09:55 –되돌아서 이정표 삼거리(4.22km) 09:57 –출렁다리 앞(4.47km, 약390m) 10:03 –출렁다리 끝(4.71km, 약410m) 10:07 -출렁다리 건너 우측 전망쉼터(4.76km, 약405m) 10:10 ~10:16 – 내리막 데크계단 –도로(5.10km, 약320m) 10:22 –무지개 다리 건너 데크길 –출렁다리 입구이정표 10:23 –평탄한 데크길 –명도봉 이정표(5.40km, 약320m)10:26 –명도봉 이정표2 10:27 –쉼터 10:28 –명도봉 이정표(길 나쁘다고 되어 있음, 5.70km, 약300m) 10:30 –세멘트길(5.88km, 약290m) 10:33 –주차장(6.15km, 약290m) 10:38 ~10:48 ---차량이동 ----금산 소티재 정자(약345m) 11:00 –안부사거리(묘, 0.318, 약385m) 11:18 –묵묘 1.2.3 -우측 석동리 하산로 삼거리(0.730km, 약465m) 11:28 –바위지대 –마이산 정상(돌탑, 부서진 산불감시초소, 1.21km, 약627.8m) 11:47 ~11:50 –되돌아서 석동리 삼거리(1.71km) 12:00 –묵묘 1.2.3 –안부 사거리(좌측으로, 2.13km) 12:08 –도로(콘테이너 박스 앞, 2.34km, 약335m) 12:11 –소티재 정자앞(2.56km) 12:14 ~12:30(중식) -추부톨게이트 13:00 –서청주 톨게이트(통행료 3700원) 13:39 –청주 집 13:48
~~~~~~~~~~~~~~~~~~~~~~~~~~~~~~~~~~~~~~~~~~~~~~~~~~~~~~~~~~~~~~~~~~~~~~~~~~~~~~~~~~~~~~~~~
명도봉(868.9m)
명도봉은 전북 진안군 주천면 주양리에 걸쳐 있는 바위산이다.
명도봉 정상에서 복두봉으로 이어지는 산줄기를 통해 구봉산과 운장산으로 연결된다.
또한 명도봉과 명덕봉 사이의 약 5 km에 이르는 주자천 계곡을 운일암 반일암이라 하는데, 70여 년 전만 해도 깎아지른 절벽에 길이 없어 오로지 하늘과 돌과 나무와 오가는 구름뿐이었 다고 한다.
그래서 운일암이라 했고, 또한 깊은 계곡이라 햇빛을 하루에 반나절밖에 볼 수 없어 반일암이라 불리어졌다고 전한다.
운일암반일암은 운장산에 있는 계곡으로 구름만이 오갈 수 있으며 햇빛을 볼 수 있는 시간이 반나절밖에 되지 않는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며 그곳에 새로이 구름다리가 생겼다고 해서 다녀왔다.
운일암반일암 구름다리는 예산 46억 5천만 원(국비 12억, 도비 9억, 군비 25억 5천만)을 들여 2020년 착공했으며 자연환경 훼손 최소화에 신경 써 길이 220m 폭 1.5m 높이 80m로 조성되어 2022. 7. 14 개통되었다.
명덕봉과 명도봉을 잇는 운일암반일암 구름다리는 운일암반일암의 천혜의 자연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높은 위치에서의 아찔한 스릴감을 느낌과 동시에 무지개다리도 한눈에 볼 수 있어 관광객들에게 많은 인기를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구름다리 운영 시간은 7월과 8월은 오전 8시부터 오후 7시까지 무휴로 운영하며 기상악화 시(강우, 강설, 강풍 등)에는 출입이 제한된다.
또한 구름다리에는 자동차단기 및 CCTV가 양쪽에 설치되어 있으며 구름다리 개통으로 방문객들이 많아질 것을 예상해 기존 주차장을 정비하고 임시주차장을 추가 조성해 주차장 총 6개소 약 1,200대의 주차공간을 마련하는 등 이용객 편의 증진에도 힘을 썼다고 한다.
구름다리 개통과 함께 운일암반일암이 마이산과 구봉산, 용담호를 연계하는 진안군 사계절 휴양관광 1번지로서 새로운 시작으로 성공시대를 열어가는 미래 진안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운일암반일암은 빼어난 경관의 계곡을 자랑하고 있으며 구름다리를 비롯해 무지개다리, 국민여가 캠핑장을 보유하고 있어 관광지로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기암절벽에 옥수청산(玉水靑山) 천지산수가 신묘한 어우러짐으로 절경을 빚어낸 곳이 바로 운일암·반일암이다. 진안읍에서 북쪽으로 정천을 거쳐 24km를 달리면 주천면에 이르고 운장산쪽 주자천 상류를 2km쯤 더 올라가면 운일암.반일암의 장관이 시작된다. 운장산 동북쪽 명덕봉(845.5m)과 명도봉(863m) 사이의 약 5km에 이르는 주자천계곡을 운일암·반일암이라 하는데, 70여 년 전만 해도 깎아지른 절벽에 길이 없어 오로지 하늘과 돌과 나무와 오가는 구름뿐이었다 한다. 그래서 운일암이라 했고, 또한 깊은 계곡이라 햇빛을 하루에 반나절 밖에 볼 수 없어 반일암이라 불렸다 한다.
"또한 운일암 반일암 주자천 계곡위로명도봉과 명덕봉을 잇는 길이220m, 폭 1.5m 의구름다리가 2022년 7월15일에 정식 개통되었다.
A팀: 전주식당-무지개다리-진안고원길9구간-산길진입-명도봉(863)-칠은이골방향하산-칠은이골 갈림길-구름다리-전주식당-에로스산장- 영불사-명덕봉(845,4)-운일암교국민여가캠핑장(9.5K)6시간
B 팀:전주식당-무지개다리-진안고원길9구간-산길진입-명도봉-칠은이골 갈림길-구름다리-전주식당-운일암교국민여가 캠핑장(5K) 4시간
~~~~~~~~~~~~~~~~~~~~~~~~~~~~~~~~~~~~~~~~~~~~~~~~~~~~~~~~~~~~~~~~~~~~~~~~~~~~~~~~~~~~~~~~~~~~
청주 집 05:37
이번 산행지는 청주에서 비교적 가까운 진안에 있는 명도봉이다. 마나님하고 함께 가려 하던 산인데 바위지대 오를 때 마나님이 고생 할 것 같아 나혼자 가기로 한다. 명도봉은 금남정맥이 모래재에서 분기하여 진행을 하다가 연석산을 지난후 운장산 서봉에서 분기를 한 능선이다. 이 능선은 운장산을 지난후 구봉산에 이르기 전 북두봉에서 좌측으로 뻗은 또하나의 지능선이다. 산세가 험하고 급경사지대로 올라야 하는 쉽지 않은 코스다. 오늘도 아침 일찍 일어나 산행준비를 마친 후 집에서 05시 37분 출발을 한다.
운일암 반일암 주차장 07:07 ~07:13
가는 길은 서청주 톨게이트로 진입을 하여 달린다. 이제 해가 짧아져 어두컴컴한 도로를 따라 달리면 대전을 지나고 이후 비룡분기점에서 통영방향으로 다리면 마달터널을 지나고 잠시후 추부톨게이트로 빠져나가 국도를 따라 달리면 금산에 닿는다. 금산에서 다시 진안방향으로 달리면 보석사 입구에서 우측으로 들어가 진행을 하면 보석사입구를 지나고 고갯마루로 올라선다. 이곳이 소티재다. 우측으로 높이 솟은 산이 마이산이다. 이후 내려서서 흑암리에 닿고 이후 진행을 하면 성치산입구 고갯마루를 넘어서 진행을 하면 주천면소재지에 닿는다. 여기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가면 용담호로 가는 길이고, 우측으로 가면 운일암,반일암으로 가는 길이다. 이 길을 따라 진행을 하면 얼마 가지 않아 운일암,반일암 캠핑장이 널찍한 주차장에 도착을 한다. 청주에서 천천히 왔어도 1시간 반밖에 안 걸렸다.
바위봉(우측으로 내려가는 곳 쇠사슬 설치됨, 1.70km, 약583m) 08:10
운일암,반일암 캠핑장옆 주차장에서 이제 산행을 시작한다. 캠핑장 방향으로 진행을 하면 그 끝 지점에 등산안내도가 있다. 이곳에서 임도를 따라 잠시 들어가면 명도봉 1.6km, 닭밭골 0.3km가 적혀 있는 이정표에서 닭밭골방향으로 들어가면 좌측으로 농막이 있는 곳에서 부터는 폐임도길로 이어져 잠시 진행을 하면 쓰러져 길을 막고 있는 나무를 옆으로 피해서 진행을 하고 좀 더 진행을 하면 폐임도는 계곡을 향해 서서히 오르기 시작한다. 이렇게 오르다가 우측으로 길 흔적이 보이는 사면으로 오르기 시작한다. 낙엽이 쌓여 있고 경사가 심해서 상당히 미끄럽다. 이렇게 올라서면 위쪽에서 작은 바위가 나오고 잠시 올라서서 능선을 따라 오르기 시작한다. 10여분을 올라서면 바위전망대가 나온다. 앞쪽으로 구봉산이 끝부근이 살짝 보이며 아직은 썩 좋은 조망은 아니다. 다시 급경사 지대를 따라 오르면 바위사이에 놓여있는 쇠사슬이 보인다. 이곳으로 올라서서 2번째 3번째 4번째 쇠사슬을 잡고 올라서서 바위봉에 닿는다. 출렁다리가 나무에 가려 있지만 보이기 시작한다. 우측으로 명덕봉이 마주 보이는 곳이다. 이후 바위지대를 살짝 내려섰다가 다시 오르면 좌측으로 조망이 좋은 바위전망대에 닿는다. 이제 시원스럽게 조망이 펼쳐진다. 앞쪽으로 용담호 위로 솟아 오른 햇살이 빛나고 성치산 성봉 줄기와 구봉산의 모습이 이제 뚜렷하게 보인다. 여기서 몇 발자욱으로 더 올라서면 두 번째 바위봉 정상이다.
명도봉 정상석(2.58km, 863m) 08:59 ~09:08
바위봉에서 바위틈사이로 내려서니 우측편으로 쇠사슬이 매여진 곳이보인다. 저곳으로 내려오면 편안한 길었다. 이렇게 내려서서 안부에 닿는다. 우측편으로 길이 하나 보이는대 이 길은 주차장에서 냇가를 따라 올라와 첫 번째 이정표가 있는 곳에서 올라온 길로 보인다. 이후 능선의 좌측 사면으로 돌아서 가면 길게 설치된 쇠사슬을 잡고 올라서서 능선에 닿는다. 이제 좌측으로 능선을 따라 진행을 하면 경사가 점점 더 급하게 올라가는 능선을 따르고 푸르른 조릿대숲길을 따라 진행을 하면 조릿대길은 좌측으로 돌아서 진행을 하여 다시 능선에 닿는다. 이후 조릿대 길이 끝나고 오르막 육산길을 따라 진행하면 바위지대에 설치된 쇠사슬을 잡고 올라서 2번째 3번째 쇠사슬을 지나면 이정표 삼거리에 닿는다. 이 길이 가장 많이 이용되는 등산로로 보인다. 이정표에는 명도봉 0.61km, 전주산장 0.9km, 주차장 1km등이 적혀 있으나 거리가 틀린지 지운 흔적도 보인다. 이후 산길은 바위지대 좌측 사면으로 진행을 한다. 잠시후 스텐철주에 설치된 쇠사슬을 잡고 바위를 넘고 이후 쇠사슬, 목봉에 로프가 설치된 오르막길을 따라 진행하면 이제 바위골짜기로 올라서는 곳이 상당히 험하다. 목봉에 설치된 자일을 잡고 올라서고 급경사 오르막 바위지대에 설치된 스텐봉과 쇠사슬로 설치한 곳으로 올라서면 수직바위벽 아래에 닿고 다시 좌측으로 살짝 돌아서 골짜기로 오르는 길은 좌측은 목봉에 자일을 매달았고 우측은 쇠사슬이 쳐져 있는 양쪽 사이로 올라서면 우측편으로 조금 널찍한 바위전망대에 닿는다. 앞쪽으로 용담호의 모습이 뚜렷이 보인다. 이후 바윗길을 따라 진행을 하면 두 번에 걸쳐서 목봉에 매단 자일줄을 잡고 올라서서 명도봉 정상석이 있는 곳에 닿는다. 명도봉으로 오르는 바위지대가 다른분들 산행기에서 보았을 때 상당히 험하다고 생각을 했었는대 그리 어렵지는 않은 길이다.
이정표 삼거리(우측으로, 3.35km, 약620m) 09:36
명도봉 정상석에서 인증사진찍고 옆으로 이동을 하면 돌무더기가 있고 뒤편으로 등산안내도가 있으며 옆쪽으로 이정표가 있다. 이정표에는 칠은이골 1.3km, 주차장 1.6km, 북두봉 5.5km가 적혀 있다. 북두봉은 운장산에서 구봉산으로 진행할 때 중간쯤에 있는 봉으로 오래전 운장산에서 구봉산으로 진행한 산행때 지난 곳이다. 이제 하산을 시작하면 잠시후 능선 우측으로 돌아가는 길에 목봉에 로프가 설치된 지점을 지나서 능선 반대편으로 넘어서면 북두봉, 운장산 방향이 시원스럽게 조망이 되는 바위전망대에 닿는다. 우측으로 대아휴양림 위쪽의 완주 장군봉과 마주 하고 있다. 조망이 좋은 곳이다. 이제 능선을 따라 진행을 하면 잠시후 능선 좌측사면으로 내려서는 길다란 목봉에 매단 로프길을 따라 내려서고 이후 파란 조릿대 사이길을 따라 내려서면 이후 발 딛기 불편한 너덜지대 잡석 길을 따라 내려오는대 경사도가 만만치를 않다. 이렇게 내려서면 너덜지대에 돌 계단길이 나온다. 돌 계단길을 따라 잠시 내려서면 그 끝에 이정표가 나온다. 명도봉 정상 0.73km, 칠은이골 0.67km, 운일암 반일암방면 1.25km가 적혀있다.
출렁다리 앞(4.47km, 약390m) 10:03
이정표 삼거리에서 운일암 반일암 방향으로 진행을 하면 잠시 올라서서 바위밑 능선에 닿는다. 이후 좌측으로 능선을 따라 진행을 하면 길이 매우 좋아진다. 이곳은 등산로 정비가 잘되어 있다. 첫머리 내리막 목봉,로프길을 따라 서서히 내려서고 이후 서서히 내려서는 조릿대 육산길을 따라 내려선다. 한동안 내려서면 통나무계단이 설치된곳으로 내려서서 조릿대길이 끝이 나고 이후 육산길을 따라 진행을 하면 6분후 이정표가 있는 삼거리에 닿는다. 칠은교 가는 길과 구름다리 가는 길이 적혀 있다. 여기서 잠시 칠은교 방향으로 진행을 하면 좌측으로 묘지가 나오고 잠시후 정자가 나온다. 운일암 반일암 28경으로 대불바위라 적혀 있다. 바위위에 바위를 포갠 모습이 흡사 부처님 같다고 하여 불리는 이름으로 그 가슴팎에 『雙高道德 大明日月』이라 각자한 것은 김재호의 글씨인데 이는 그의 선조가 명나라가 망한후 이산중에 들어와 『대명을 여기서 보는듯』하다고 자위하며 살던 유인을 글씨로 나타낸 것이라고 한다. 운암정에 올라서면 구름다리가 정명으로 그림같이 보이고 명덕봉이 드 높이 보인다. 이제 되돌아서 이정표가 있는 삼거리에 닿고 잠시 진안고원길을 따라 진행을 하면 출렁다리 앞에 닿는다. 출렁다리로 올라오는 계단이 보이며 앞쪽으로 가마봉이 마주한다. 길이는 대략220m라고 한다.
주차장(6.15km, 약290m) 10:38 ~10:48
출렁다리 앞에서 잠시 엉성하게 사진 한 장 담고는 이제 건너기 시작한다. 바람이 조금 불기는 해도 출렁다리는 움직임은 없다. 좌측으로 금시 다녀온 대불바위와 뒤편으로 올해 다녀온 무릉산이 솟아 있고 우측으로는 주천으로 이어지는 길다란 계곡이 펼쳐진다. 건너가는대 4분여 소요되었고 출렁다리 끝에 닿은후 인증사진 다시 한 장 더 찍는다. 앞쪽으로 이제 명도봉이 드높게 솟아 있는 모습이 장관이다. 여기서 내려서는 방향으로 데크길이 잘되어 있다. 잠시 진행하여 데크전망쉼에 닿은후 잠시 앉아서 커피한잔 마시고 감 하나로 간식을 들고는 다시 진행을 하면 길게 내려서는 데크계단길이다. 이렇게 내려서면 도로에 닿는다. 도로에는 날씨가 쌀쌀해져 관광객이 보이지 안는 대도 진행하시는 관계자분들이 열심히 안내를 한다. 인사를 나눈후 무지개 다리를 건너서 좌측으로 잠시 가면 출렁다리, 명도봉으로 오르는 이정표가 있는 곳에 닿는다. 여기도 청소를 하시는 분 안내를 하시는 분들이 반갑게 맞아 주며 안내를 한다. 이후 강가를 따라 내려서는 평탄하게 깔린 데크길은 걷기에 매우 좋다. 명도봉으로 오르는 지점 이정표에 닿고 잠시 후 두 번째 명도봉을 오르는 돌계단길앞을 지나서 가면 명도봉을 오르는 3번째 이정표에는 누군가 ‘개고생길’이라 써 놓았다. 길이 좋지를 않은 것 같다. 오늘 바위봉에서 내려서서 안부 우측으로 보이던 길이 이길인 것 같다. 이후 진행을 하면 바위모퉁이를 돌아서서 세멘트길에 닿고 잠시 더 나가면 오늘 산행을 시작한 주차장에 도착을 한다.
차량이동 금사 소티재 정자 앞 (약345m) 11:00
주차장에 도착하여 간단히 정리를 하고 집으로 향하는 길에 잠시 들러보기로 마음 먹은 금산 마이산으로 향한다. 주천을 지나고 올봄 다녀온 흑암봉~선봉산행때 시작을 한 성치산 입구 고개를 넘어서 진행을 하여 흑암리를 지나고 고갯길을 따라 급하게 올라서면 소티재 정상이다. 정자가 있고 돌탑이 있으며 현재는 주변으로 꽃무릇꽃을 심어 놓았다. 산행을 제대로 하려면 마이산을 거쳐 진악산까지 들른후 보석사로 내려오면 산행코스가 적당하겠지만 오늘은 마이산만 왕복으로 다녀오려 한다.
마이산 산행 11:00 ~12:14
소티재에서 오르는 곳이 길이 확실히 없다. 잠시 올라서서 능선에 닿은후로도 잡목사이로 빠져나가며 진행을 하면 20분이 조금 못 되어서 안부사거리에 닿는다. 앞쪽으로 묘지가 있고 좌, 우측으로 가는 길이 있는 고개다. 이제 서서히 오르기 시작하면 평장묘가 한기 보이고 이후 오르는 능선으로는 묵묘가 몇기 보이며 진행을 하여 우측으로 석동리 방향으로 하산을 하는 확실한 길이 있는 지점에 닿는다. 여기서 잠시 더 진행을 하면 앞쪽으로는 바위지대가 나온다. 바위사이로 이리저리 돌아서 올라서서 좌측에서 오는 능선과 만나는 지점에 닿고 이후 확실해진 길을 따라 진행을 하면 얼마 오르지 않아 마이산 정상에 닿는다. 정상에는 돌탑이 있고 부서진 산불감시초소가 있다. 돌탑에 마당히 정상표지판이 붙어 있어 정상인증을 햇다. 나뭇가지 사이로 앞쪽으로 금산의 진산인 진악산이 보인다. 이제 되돌아서 내려선다. 한동안 내려서서 바위지대로 내려선후 좌측으로 석동리로 하는 곳으로 가고도 싶지만 도로를 따라 걷는 거리가 멀어질 것 같아 그냥 능선 길을 따라 내려서서 안부사거리에 이른후 여기서 좌측으로 내려서니 낙엽은 수북히 쌓여 있으나 예전에 다니던 임도 길이라 길은 나쁘지 않다. 잠시 내려서면 콘테이너 박스가 앞쪽으로 놓여있는 지점의 도로에 닿는다. 도로에 닿은 후 우측으로 3분여 진행을하니 소티재 정자 앞에 닿는다. 이렇게 하여 마이산을 다녀오는 대 1시간 14분이 걸렸다.
오늘 산행을 이렇게 마치고 준비해온 도시락으로 정자에 앉아 식사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온다.
돌아오는 길
소티재에서 보석사 앞을 지나 잠시 가면 삼거리에 닿는다. 여기서 좌측으로 진행을 하면 얼마 안가 금산을 우회하여 갈 수 있는 삼거리가 나온다. 잠시 내려서서 도로에 닿은후 좌측으로 진행을 하면 금산 인삼시장 옆 원형교차로를 두 번 통과한후 잠시 더 진행을 하여 마지막으로 원형교차로에서 우측으로 진행을하면 추부로 가는 길이다. 이길을 따라 추부톨게이트로 진입을 하여 달리면 40여분후 서청주 톨게이트로 빠져나와 집에 도착을 하니 13시 48분이다. 오늘도 이렇게 하여 쌀쌀한 날씨지만 무사히 산행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왔다.
진안 명도봉 산행시간 : 3시간 25분
산행거리 : 6.15km,
금산 마이산 산행시간 : 1시간 14분
산행거리 : 2.56km
연료비 : 3만원
통행료 왕복 : 7400원
~~~~~~~~~~~~~~~~~~~~~~~~~~~~~~~~~~~~~~~~~~~~~~~~~~~~~~~~~~~~~~~~~~~~~~~~~~~~~~~~~~~~~~~~~~~
진안 명도봉863m
청주 ~운일암,반일암 주차장(전북 진안군 주천면 주양리 630-3, 산63 명천슈퍼앞 길가주차장) : 101km, 1시간 45분 통행료 3700원
명천슈퍼앞 길가 주차장 주차 –전주식당 –무지개 다리 –우측으로 진행 –철계단길(진안고원길) -구름다리 건너와서 –비석바위 –이정목 – 너덜지대 – 명도봉 –쇠사슬 내리막길(유격코스)- 전주 산장 하산로 삼거리(명도봉 0.6km, 전주산장0.9km, 주차장 1km) - 주차장 방향으로 –주차장 –좌측으로 진안고원길 따라 –무지개 다리 –전주식당 –명천슈퍼앞 길가 주차장
산행거리 : 5.96km 4시간 소요
금산 마이산
소티재-마이산(△627.3m)-물굴봉(735.1m)-진악산(△732.2m)-조종산(244.8m)-금산종합체육관
'산행기(2000년 부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84의성 다인 문암산~비봉산~곤지산 2023.12.01. 금요일 맑음(영하 7도) (3) | 2023.12.02 |
---|---|
1383 거창 건흥산573.1m~취우령(아홉산)795.1m 2023.11.28.화요일 비온후 갬 (0) | 2023.11.30 |
1381 남양주,서울 불암산509.6m 2023.11.21.화요일 맑음 (2) | 2023.11.23 |
1380 진도 동석산(217.7m)~석적막산(247.6m) 2023.11.14.화요일 구름 (0) | 2023.11.15 |
1379 양평,단월 노기산~푯대봉~노고봉~된봉 2023.11.10.금요일 맑음 (1) | 2023.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