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2000년 부터)

1367 인제 인제에서 꽃길만걷자, 속삭이는 자작나무숲~원대봉2023.09.29.금요일(추석날) 맑음

산야55 2023. 10. 1. 11:25

인제 인제에서 꽃길만걷자, 속삭이는 자작나무숲~원대봉

2023.09.29.금요일(추석날) 맑음

참석인원 : 마나님이라 둘이서

 

청주 집 05:50 서청주톨게이트 06:00 원주휴게소 07:15 ~07:40(아침식사 및 연료 5만원주유) -홍천톨게이트 인제 용대리 인제꽃길만 걷자 행사장 08:53 ~09:40(1.13km) -용대리 출발 099:45 원대리 속삭이는 자작나무숲 주차장(고갯마루, 해발 약500m) 10:24 ~10:27 안내소 삼거리(우측 임도길따라, 0.361km, 510m) 10:34 우측 6코스입구 10:35 우측 6코스입구 10:38 -별바라기숲 2.4km 이정표(0.849km, 5655m) 10:43 쉼터(1.12km, 610m) 10:48 - 우측 6코스 (1.26km, 630m) 10:50 별바라기숲 1.9km 이정표(1.36km, 640m) 10:52 송신탑(7코스, 안내도, 1.72km, 685m) 10:58 쉼터(6코스 끝지점, 2.02km, 705m) 11:02 평탄한 아스팔트길 좌 임도 3코스 입구(2.24km, 700m) 11:05 우측 5코스 입구(2.24km, 700m) 11:07 좌 별바라기숲, 5코스입구(2.70km, 720m) 11:12 세멘트길 임도 의자2개 있는 쉼터(2.98km, 750m) 11:16 좌 전망대, 5코스 끝지점(3.15km, 760m) 11:19 전망대(3.20km, 765m) 11:20 ~11:23 종합안내소(화장실, 안내원, 안내도, 좌 별바라기숲, 3.41km, 760m) 11:25 ~11:32 좌 하늘만지기(3.58km, 790m) 11:36 기상관측장비(3.82km, 820m) 11:39 등산안내도(좌측 좁다란 임도따라, 4.02km, 820m) 11:42 이정표 삼거리(우측으로, 4.34km, 865m) 11:48 원대봉(달맞이봉, 4.48km, 882m) 11:52 되돌아서 이정표 삼거리(달맞이숲 방향으로 진행, 4.62km, 865m) 11:55 ~12:13(중식) -널찍한 내리막 등산로 따라 진행 이정표 삼거리(좌측 별바라기숲방향으로, 5.15km, 795m) 12:27 별바라기숲 포토존(5.61km, 755m) 12:40 능선 삼거리(숲속교실 방향으로, 5.72km, 675m) 12:43 숲속교실(5.6km, 755m) 12:50 내리막 데크로드길 따라 끝지점 이정표 삼거리(우측으로, 6.16km, 725m) 12:55 생태연못(6.27km, 735m) 12:58 잠시후 숲속교실방향 이정표(직진) -포토존삼거리 이정표(직진, 6.39km, 755m) 13:01 이정표, 통나무다리 13:05 능선 이정표(좌측 달맞이숲길 방향으로, 6.80km, 795m) 13:09 쉼터 13:12 내리막길 자작나무숲길(달맞이숲길) -샘터앞 쉼터(7.17km, 760m) 13:17 ~13:27 달맞이숲 입구 0.6km 이정표(7.33km, 720m) 13:32 쉼터(7.62km, 670m) 13:38 개울옆 공터(7.96km, 620m) 13:46 임도 안내소(3코스, 달맞이수길 입구, 8.09km, 585m) 13:49 좌측으로 비포장 임도 따라 진행 안내소 2.0km 이정표(8.72km, 615m) 13:58 쉼터,화장실(해발 약630m) 14:01 안내소 1.5km 이정표(9.21km, 610m) 14:05 쉼터(9.59km, 75m) 14:10 7코스 입구(개울, 10.00km, 545m) 14:17 쉼터, 안내소 0.5km이정표(10.20km, 540m) 14:20 삼거리합류지점, 안내소(우측 하부 주차장임도길, 10.70km, 510m) 14:26 주차장위 고갯마루(11.10km. 500m) 14:32 ~14:38 홍천톨게이트 15:26 -만종분기점 15:52 남원주 톨게이트 16:11 충주 야동휴게소(육계장 11000x2=22000) 16:32~17:06 주덕 증평 청주 집 18:40

~~~~~~~~~~~~~~~~~~~~~~~~~~~~~~~~~~~~~~~~~~~~~~~~~~~~~~~~~~~~~~~~~~~~~~~~~~~~~~~~~~~~~~~~~~~

원대리(院垈里)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에 있는 리()이다. 대부분의 지역이 산지로 이루어진 산촌이다. 동쪽으로 내린천이 흐르며 박장골, 분토골, 산상동골 등의 작은 골짜기가 있다. 자연마을로 간촌, 물알, 비록동, 샛말, 천연덕골, 해기네터골 등이 있다. 간촌은 샛말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물알은 간촌 아래에 있는 마을로 마을에서 흘러내리는 냇물이 내린천과 합수되는 곳을 말한다. 비록동은 비록골에 있다 하여 이름 붙여졌다. 샛말은 간촌과 응달말 사이에 있는 마을이다. 천연덕골은 샛말과 욋고개 사이에 있는 마을이다. 해기네터골은 천연덕골 건너 마을이다. 문화재로 원대리 삼층석탑이 있다.

 

원대봉(院垈峰)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원대리에 있는 산이다. 국립지리원지도에는 무명봉이나 인제군에서 원대리에 자작나무숲 테마 길을 조성하면서 원대리에 있는 산이라는 의미에서 원대봉을 명명한 듯싶다. 자작나무 숲. 하늘과 맞닿은 자작나무 숲길은 모든 상념을 잊게 한다. 설렘과 고요함, 자작나무의 속삭임만이 존재할 뿐이다. 자작나무의 속삭임은 힐링 그 자체다. 자작나무의 자태는 순백의 겨울뿐 아니라 봄과 여름, 가을까지 사계절 내내 아름답다. 특히 청포도색 옷을 갈아입는 여름이면 순백의 자작나무 수피는 더욱 도드라진다. 자작나무숲은 인제읍 원대리 원대봉(884.1)에 자리 잡고 있다. 1시간 남짓 걸어 이마에 땀방울이 흐를 즈음이면 자작나무숲이 모습을 드러낸다. '당신을 기다립니다.'라는 꽃말을 가진 자작나무숲이 가늘지만 꼿꼿하게 오늘도 순백의 동화 속 주인공들을 기다린다. 인제 원대봉 자작나무숲은 인제군에서 원대리 산 75번지 원대봉(884m) 자락 25에 자작나무 숲을 조성해 2008년부터 숲 유치원으로 운영돼 온 자작나무 숲은 최근 진입로ㆍ탐방로 정비 사업을 통해 전국적인 명품 숲으로 거듭났다. 인제 국유림관리소는 원대리 산 75번지 원대봉(884m) 자락 25에 자작나무 숲을 조성 이번에 조성된 자작나무 숲은 1974년부터 1995년까지 경제림 조림단지로 자작나무 69만 그루를 조림해 관리해온 138의 일부분으로 군락이 빼어나 전국에서도 손꼽히는 명품 숲이다. 원대리 자작나무 숲은 1974년부터 1995년까지 138ha에 자작나무 690,000본을 조림하여 관리하고 있고, 그 중 25ha를 유아숲체험원으로 운영하고 있다. 자작나무 숲의 탐방은 입구에서 입산기록 후 도보로 이용할 수 있으며, 자작나무 숲만이 간직한 생태적, 심미적, 교육적 가치를 발굴하여 제공하고자 마련된 곳이다. 국내에서 특히 남한에서 보기가 어려운 자작나무 숲 군락이 조성되어 콘텐츠의 희귀성 및 희소성이 높으며, 인제의 최대 관광사업(빙어축제와 내린천 래프팅 등)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관광 사업 간에 연계성도 우수하며, 따라서 근래에 인제의 떠오르는 관광명소로 부각되고 있다.

 

인제 원대리 자작나무 숲길

강원도인제에는 자작나무숲이 두 군데 있다. 원대리에 있는 자작나무숲과 수산리(응봉산) 자작나무숲이 그곳이다. 자작나무는 하얀색 나무껍질로 잘 알려진 활엽교목이며, 추위에 강해 강원도 산간 지역에 특히 많이 분포한다. 목재로서 별 효용이 없어 보이지만, 사실 이 나무는 강도가 좋고, 잘 썩지 않아서 쓰임새가 다양하다. 건축재로서도 좋고, 나무조각을 하기에도 더 할 나위 없다. 그 유명한 팔만대장경도 이 나무로 만들어졌다. 자작나무라는 이름은 탈 때 "자작자작" 소리를 낸다고 해서 붙은 것이다. 원대리 자작나무숲은 인제국유림관리소에서 개장한 숲유치원이다 원대리 산67번지 일대 60ha에 조림된 숲이며, 3000본의 자작나무가 심어져 있다. 1993년 조림된 이 숲은 수산리 자작나무숲과 달리 바깥에서 바라보기만 하는 곳이 아니다. 그 안에 들어가 산책하고 뛰어노는 숲이다. 오솔길이 숲 사이로 나 있고, 통나무로 만든 정글과 그네 같은 놀이기구가 설치돼 있다. 원대리 자작나무숲으로 가기 위해서는 임도를 따라 3km를 걸어 들어가야 한다.

 

자작나무

백단(白椴백화(白樺)라고도 하며 줄여서 자작이라고도 한다. 하얀 나무껍질을 얇게 벗겨 내서 불을 붙이면 기름 성분 때문에 자작자작 소리를 내며 잘 탄다고 해서 자작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나무껍질은 흰빛을 띠며 옆으로 얇게 종이처럼 벗겨지며, 나무껍질이 아름다워 정원수·가로수·풍치림으로 심는다, 작은 가지는 자줏빛을 띤 갈색이며 기름점이 있고, 공업용·관상용·약용으로 이용된다. 나무껍질을 화피(樺皮)라 하며 약재로 사용하고, 자작나무의 수액은 화수액이라 하여 식용하거나 술로 만들어 먹는다. 약명(藥名)은 백화(白樺)이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하거나 술을 담가서 쓴다.

목재는 질이 굳고 질겨서 건축재·세공재·가구·조각·목기·펄프 원료로 쓰이며, 팔만대장경의 목판도 일부는 이 나무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껍질이 흰색인 것은 추운 곳에서 겨울을 나기 위해 지방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공해에 약해 가로수로는 곤란하며 흰색의 수피가 아름다워 조경이나 정원수로 애용되는 식물이기도하다. 또한 자작나무 껍질은 좀처럼 썩지를 않는다. 천여 년 전에 자작나무 껍질에 그린 천마총의 천마도가 아직도 건재한 것을 보면 어느 정도인지 알 수가 있다. 또 요즘에는 자작나무에서 감미료를 추출하여 껌을 만든 자일리톨이라는 제품도 나와 있다. 원래 자작나무는 추운 곳에서만 자라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자연 상태로 자라는 자작나무숲은 없고, 조림지로 태백, 횡성, 인제 등 강원도에서 볼 수 있는데, 인제 원대리 자작나무 숲이 유명하다. 인제에는 원대리와 수산리 두 군데, 자작나무 숲이 있으며, 넓이는 수산리가 훨씬 넓다고 하나 접근성은 원대리가 더 좋다.

 

우리산줄기이야기

홍천가마(수리단맥)

홍천기맥이 한강정맥 청량산에서 분기하여 흐르며 하뱃재 응봉산 행치령 백암산 지나 가마봉어깨에서 분기하여 가마봉을 넘어 비득재 응봉산 지나 편백나무숲으로 가면서 길령에서 올라간 기영산 어깨(930)에서 분기하여 기영산(934, 0.1)-십자안부(790, 0.5/0.6)-865(0.9/1.5)-870(0.3/1.8)-730안부(0.7/2.5)-832(0.7/3.2)-망태봉(772.8)갈림길(830, 0.4/3.6)-850(0.1/3.7)-864(1.1/4.8)-670안부()1.7/6.5)-725(0.2/6.7)-도수암고개(ㅓ자안부, 530, 0.6/7.3)-수리봉(704.2, 0.5/7.8)-청구동 갈림길(470, 0.9/8.7)-44, 46번국도 매고개(230, 0.7/9.4)-270(0.2/9.6)을 지나 인제군 남면 부평리 성재마을 소양호변(170, 1.5/11.1)에서 끝나는 약11.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출처/다음카페 우리산줄기이야기]

~~~~~~~~~~~~~~~~~~~~~~~~~~~~~~~~~~~~~~~~~~~~~~~~~~~~~~~~~~~~~~~~~~~~~~~~~~~~~~~~~~~~~~~~~~~~

 

청주 집 05:50

이번 석연휴는 상당히 길다. 화요일 하루를 쉬면 연속 6일이 된다. 올가을 날씨가 연일비가 많았는데 이번 연휴에는 날씨가 좋다고 한다. 어디를 갈까 생각하다가 꽃축제와 산행을 겸할수 있는 인제로 방향을 잡았다. 명절연휴에는 고속도로 통행료도 없으니 일석이조다. 다만 요즘 기름값이 엄청올라서 부담이 되긴하다. 인제에는 지금 한창 용대리 십이선녀탕입구에서 인제에서 꽃길만걷자라는 꽃축제가 열리고 있다. 국화가 주종을 이루고 마편초, 백합, 댑싸리등이 전시되어 있다. 규모는 그리 크지는 안치만 1시간 가량 돌아보기 좋겠다. 이후 원대리로 이동을 하여 속삭이는 자작나무숲을 돌아보고 오면 하루코스가 딱맞겠다. 오늘 아침 5시에 출발하려 했으나 늦잠을 자는 통에 5시에 일어나 준비하고 집에서 0550분 출발을 한다.

 

인제 용대리 인제에서 꽃길만 걷자 행사장 08:53

집을 출발하여 서청주톨게이트로 진입을 하여 중부고속도로를 따라 진행한다. 오늘이 추석날로 차량은 그리 많지를 않다. 특히 화물차가 없어 평시보다 훨씬더 차량속도가 잘난다. 네이비게이션에서 평택~제쳔간 고속도로로 가라고 해서 호법분기점까지 올라가지 않고 제천방향으로 진행을 하여 충주분기점에서 다시 중부내륙고속도로를 따라 진행하여 여주분기점에 닿고 여기서 다시 영동고속도로를 따라 진행하면 문막휴게소를 지나고 만종분기점에서 중앙고속도로를 따라 진행하여 원주휴게소에서 쉬어간다. 쉬는 참에 준비한 아침식사를 하고 연료도 5만원어치 채우고 다시 진행을 하여 삼마치터널을 통과하고 홍천톨게이트로 빠져나간다. 통행료 0원이라 한다. 이후 속초방향으로 진행을 하니 이곳이 차량이 더 많다. 동홍천톨게이트로 진입하는 지점을 지나며 차량은 그리 많지 않아 시원스럽게 달려 인제를 지나고 원통을 지난후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진행하여 인제 용대리 인제꽃길만 걷자 행사장에 도착을 하니 0853분이다.

 

인제꽃길만 걷자 행사장 관람 08:53 ~09:40

행사장에 도착을 하니 벌써 부지런한 사람들이 많이들 왔다. 입구로 들어서는 길에 핀 구절초가 벌써 가을임을 알리고 있으며 꽃몽우리가 이쁘게 맺힌 국화가 앙증맞다. 노랑색 빨강색국화는 활짝 피어 손님을 반기고 있다. 대형조형물에 인제에서 꽃길만 걷자가 쓰여 있고 원통형으로 꽃장식을 한 안쪽으로 선인장인지 조형물이 들어간 대형꽃장식이다. 뒤편으로 여러 가지 모형이 장식되어 있다. 주변으로 정돈된 국화꽃들을 구경하고 사진도 찍고 가면 키가 큰 연분홍색 꽃밭이 있고 옆쪽으로 마편초(버베나)꽃밭도 있으며 중간쯤에 전망대도 만들어 놓았다. 그 뒤편으로 들어가면 마편초와 백합으로 조화롭게 꾸며놓은 꽃밭도 구경을 하고 다시 되돌아나와 오던 길을 따라 나오면 좌측으로 댑싸리 밭이 있으며 다시 이곳저곳을 기웃거리며 사진도 찍고 나오면 대충 50분이 걸린다. 이렇게 하여 아침 파란하늘이 조화를 이루며 은은한 햇살이 비추는 인제에서 꽃길만 걷자의 이름에 걸맞게 꽃길을 걸어 봤다. 대략 걸은 거리가 1.3km정도가 나왔다.

 

원대리 속삭이는 자작나무숲 주차장(고갯마루, 해발 약500m) 10:24 ~10:27

용대리에서 원대리 자작나무숲 주차장까지는 약35km40분 정도 가야한다. 오던 길을 따라 인제방향으로 진행한다. 아직은 차량이 많지를 않아 달릴만 하다. 원통에서 인제로 가는 도로변으로 피어난 가을꽃 코스모스가 만발했다. 인제를 지나고 터널을 지난후 잠시 더 가면 우측으로 빠져나가 우측으로 다리를 건너면 양구로 가는 길이고, 좌측으로 굴다리를 건너서 가면 남전계곡을 따라 진행하여 원대리 자작나무숲으로 가는 길이다. 굴다리를 지나 잠시후 우측으로 방향이 틀어져 가면 다리를 건넌후 돌탑이 있는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진행하면 남전계곡을 따라 진행한다. 도로변으로 밤나무가 여러그루 있어 밤을 줍는 분도 보이고 이후 진행을 하면 원대리고개를 넘어 주차장입구에 닿는다. 주차장으로 들어가려하니 고장이 났다나 뭐라하며 500M지점에 주차장이 있다고 그리 보낸다. 직진을 하여 가니 우측으로 주차장이 있는데 그만큼 올라와야 하는 것이 아닌가 우씨~~ 다시 차를 몰고 올라와 주차장 위쪽 고갯마루 우측 작은 공터에는 차량이 만차이고 도로변으로 차량한대 주차하기 딱좋은 장소에 차를 주차한다.

 

쉼터(6코스 끝지점, 2.02km, 705m) 11:02

고갯마루에 차를 주차하고 산행준비를 간단히 한후 산행을 시작한다. 원대리 자작나무숲은 해발 약650m~750m 사이에 분포를 해 있기 때문에 어느길이건 대략 3km정도는 올라가야 한다. 우리는 계획했던 대로 임도를 따라 올라간후 원대봉을 거쳐 내려오며 자작나무숲을 구경할예정이다. 자작나무숲길로 들어가면 주변으로 장사를 하시는 분들이 진을 치고 있으며 좀 더 오르면 안내소가 있는 삼거리에 닿는다. 여기 이정표에서 달맞이숲 2.7km, 별바라기숲 2.9km가 적혀 있다. 우리는 우측 아스팔트포장이 된 임도를 따라 진행하기로 한다. 조금오르면 우측으로 능선으로 진행하는 6코스 입구가 나오고 3분여 더 진행하면 두 번째 6코스 입구를 지난후 별바라기숲 2.4km 이정표가 나온다. 여기서 분을 더 가면 쉼터가 나오고 마지막 6코스 입구를 지난후 별바라기 숲 1.9km가 적힌 이정표를 지난후 송신탑이 나온다. 안내도가 있으며 좌측으로 7코스 입구가 나온다. 아랫 비포장 임도에서 이곳으로 연결되는 길로 별의미는 없어 보인다. 여기서 다시 4~5분을 더가면 6코스가 능선을 따라 진행하여 끝지점에 닿는 곳이다. 잘 지은 쉼터가 있는 지점이다.

 

종합안내소(화장실, 안내원, 안내도, 좌 별바라기숲, 3.41km, 760m) 11:25 ~11:32

6코스가 끝나는 지점 쉼터부터는 평탄한 아스팔트길 임도다. 지붕이 없는 의자만 있는 쉼터도 있고 좀 더 지나면 의자가 여러개 있으며 옆막이 지붕까지 있는 잘지은 쉼터를 지나 좌측으로 비포장임도가 있는 곳으로 좌측 비포장임도가 3코스로 이어지는 길로 3코스는 탐험코스로 계곡으로 이어지는 길로 가장 험한길로 보인다. 여기서 좀 더 가면 5코스 입구가 나온다. 5코스도 우측편 능선을 따라 진행하는 코스다. 여기서 5분을 더 가면 좌측으로 별바라기 코스 입구가 나온다. 길이 매우 좋다. 우측으로 두 번째 5코스 입구가 마주한다. 별바라기 코스는 원대리 자작나무숲길의 가장 정점에 있는 코스로 자작나무를 가장 가까이서 보는 길이다. 여기서부터 세멘트포장 임도길로 진행이되고 의자2개가 있는 쉼터를 지난후 조금 더 오르면 좌측은 전망대, 우측은 5코스가 끝나는 지점이다. 여기서 좌측으로 전망대로 향한다. 전망대는 들어가면 금시 있으며 아래쪽으로 펼쳐지는 자작나무숲의 모습으로 볼수 있는 곳이다. 아래쪽으로 별바라기코스 길이 보인다. 전망대위쪽으로 굵직한 소나무도 몇그루 있다. 전망대에서 임도로 나가는 길이 연결이 된다. 이후 조금더 가면 화장실이 나오고 대한민국 국유림 이제 자작나무숲표지목이 있으며 자작나무숲 종합안내도 앞에서 설명을 들을수 있다. 친절히 설명을 듣고나니 참고가 많이 된다.

 

원대봉(달맞이봉, 4.48km, 882m) 11:52

종합안내소에서 자작나무만 보기위해선 좌측으로 내려서면 된다. 아래쪽에 숲속교실, 포토존, 데크로드등이 있다. 우리는 여기서 비포장 임도를 따라 진행한다. 4분여 오르면 좌측으로 하늘마지기라고 하는 곳으로 가는 길이 나온다. 이길은 결국 자작나무숲 포토존 위쪽 삼거리 이정표에 닿는길이다. 여기서 원대봉과 하늘마지기길 사이의 널찍한 사면으로 자작나무묘목을 심었으니 십여년이 흐른후에는 또다란 자작나무숲이 형성되겠다. 이후 기상관측장비가 있는 지점을 지나고 잠시 더가면 임도 좌측으로 등산안내도가 나오며 좌측으로 들어가는 임도입구는 현재 공사중으로 흙무더기가 조금 쌓여 있어 임도길 표시가 잘 나질 않는다. 여기서 임도를 따라 넘어가면 장자리로 갈수도 있고, 임도를 따라 한바퀴돌아서 제자리로 돌아올 수도 있다. 이제 좁다란 임도길을 따라 서서히 올라서가면 6~7분후 이정표가 있는 삼거리에 닿는다. 이정표에는 달맞이숲 0.7km, 달맞이봉 0.1km가 적혀 있다. 달맞이봉이 원대봉이다. 이제 우측으로 진행을 하면 잠시후 이정표 기둥에 달맞이봉이라 적혀 있으며 절골 4.4km, 달맞이숲 0.8km가 적혀 있다. 좌측으로 높다란 산불감시탑이 있는 곳이 정상으로 올라가면 탑 뒤편으로 삼각점이 있다.

 

숲속교실(5.6km, 755m) 12:50

원대봉에서 되돌아나와 이정표삼거리 의자에서 점심식사를 한다. 간단히 송편으로 준비 했기 때문에 시간은 많이 걸리지 않는다. 식사후 달맞이 숲 방향을 진행을 하면 길이 널찍하니 매우 좋다. 서서히 내려서는 숲길을 따르면 신갈나무, 굵직한소나무, 낙엽송등이 보이며 15분가량을 내려서면 능선에 이정표가 있다. 좌측으로 가면 별바라기숲으로 0.4km, 직진방향을 달맞이숲으로 0.2km가 적혀 있다. 여기서 좌측으로 별바라기숲을 구경하고 다시 돌아와 달맞이숲으로 가기로 하고 좌측으로 내려서기 시작하면 통나무다리가 있는 지점의 이정표를 지나서 좀 더 가면 좌측으로 들어가는 길 삼거리에 닿는다. 좌측으로 진행하면 잠시후 자작나무숲 속에 만들어 놓은 포토존이 있으며 다시 나와 위쪽으로 올라가면 이정표삼거리가 나온다. 의자가 있어 쉬어갈 수도 있다. 여기서 위쪽이 원대봉으로 가면서 보던 하늘마지기라 적혀 있던 길이 바로 여기로 오는 길이 었다. 여기서 우측으로 가면 숲속교실이 나온다. 잠시 자작나무숲을 따라 들어가면 숲속교실이 나온다. 자작나무로 만든 움막집도 있고, 위쪽으로는 종합안내소있는 자작나무숲의 가장 중심이 되는 곳이다.

 

달맞이숲 샘터앞 쉼터(7.17km, 760m) 13:17 ~13:27

숲속교실에서 내리막 데크로드길을 따라 내려온다. 자작나무 숲 사이로 만든 길이라 운치있고 멋진 길이다. 이길을 따라 내려서면 삼거리에 이정표가 나온다. 우측으로 달맞이숲 0.8km가 적혀 있다. 잠시 올라가면 개울물이 흐르는 생태연못이 있고 숲속의 교실로 올라가는 삼거리를 지나 좀 더 가면 처음 포토존으로 올라가던 삼거리다. 이렇게 하여 별바라기숲도 훍어보고 오던길을 따라 진행하면 이정표, 통나무다리를 건넌후 능선 삼거리 이정표에 닿는다. 다녀오는대 40여분이 걸렸다. 이후 달맞이숲 방향으로 진행을 하면 잠시후 쉼터를 지나 이후 내리막길이 시작된다. 조금은 가파르게 내려서는 길로 골짜기를 따라 이어지는 자작나무숲으로 보기 좋은 곳이다. 5분여 내려서면 작은 샘터가 나온다. 샘터앞 의자가 있는 쉼터에서 잠시 커피한잔마시며 쉬어간다.

 

주차장위 고갯마루(11.10km. 500m) 14:32 ~14:38

샘터앞 쉼터에서 잠시 휴식후 다시진행을 하면 달맞이숲 입구 0.6km 이정표가 있는 지점을 지나며 등산로 좌측편으로 쉼터가 있고 이후 등산로를 따라 내려서면 작은 개울을 몇 개 지나며 자작나무숲은 끝을 맺으며 서서히 내려서서 개울옆 널찍한 공터를 지난후 잠시 더 내려서면 임도길에 닿는다. 여기 이정표에 별바라기숲 1.1km, 안내소 2.8km, 우리가 내려온 달맞이숲이 갈리는 곳이다. 끝지점에 목교가 있다. 여기서 임도길을 따라 우측으로 계속 진행하면 4코스로 연결이 되는 가장 긴 코스이고, 계곡을 따라 올라가는 코스가 탐험코스인 3코스이며 달맞이코스는 최근에 만들어진 코스라 번호가 부여되지 않았다. 자작나무를 보기위해선 별바라기코스와 달맞이숲길로 이어지는 코스를 연계해서 걷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이제 널찍한 임도를 따라 좌측으로 진행을 한다. 안내소 2.0km 이정표를 지나고 쉼터와 화장실이 있는 지점을 지난후 안내소 1.5km 이정표가 나오고, 다시 쉼터를 지나면 계곡 개울물이 흐르는 코너 부근에서 올라가는 7코스가 있다. 이후 나가면 쉼터안 이정표에 안내소 0.5km가 적혀 있으며 6분을 더 나가면 안내소가 있는 임도삼거리에 닿는다. 우측으로 아랬주차장으로 가는 임도길이 있으며 이정표에 0.7km가 적혀있다. 이후 간이매점이 있는 길을 따라 나가서 큰 도로에 닿은 후 위쪽으로 올라서서 고갯마루 차량을 주차한 곳에 닿는다. 올 때는 도로변으로 차량이 주차가 안되어 있었는대 지금은 나란히 주차가 되어 있다. 진짜 고장이 났는지는 몰라도 아래주차장으로 몰고 있으니 다들 다시 올라와 도로변으로 주차를 한 것으로 보인다.

 

돌아오는 길

용대리 꽃밭과 원대리 자작나무숲까지 잘 돌아보고 이제 집으로 향한다. 오늘 명절 지내고 집으로 돌아는 사람들이 많이 몰릴것으로 예상을 해서 일찍 돌아가려 한것인대 예상대로 시간은 적절히 잘 맞은 것 같다. 큰길까지 나와 홍천방향으로 진행을 하니 평소보다는 차량이 많은 것 같다. 그래도 여기는 소통이 원활하게 잘되어 무사히 홍천까지 나왔는대 국도로 가라고 네이비게이션이 알려주지만 그냥 홍천톨게이트로 진입을 하여 고속도로를 따라 진행하니 중앙고속도로는 막히지 않고 잘 달린다. 원주휴게소를 지나고 차량은 반으로 줄어들고 만종분기점에서 영동고속도로를 따라 중부고속도로는 네이비게이션으로 보니 벌써 노랑색, 빵강색이 많이 보여서 남원주 톨게이트로 빠져나가 국도를 따라 가기로 한다. 만종분기점을 지나며 차량이 정체가 되어 거의 서있다 싶이 하여 불과 5km 빠져나가는대 20분이 걸린다. 이후 충주로 가는 국도는 쌩쌩 차량들이 잘 달린다. 가면서 충주에 닿기 전 야동휴게소에서 잠시 쉬면서 육개장으로 저녁식사를 하고 간다. 이후 충주가는 길에서 빠져나가 야동방향으로 진행하여 묵계다리를 건넌후 중앙탑휴게소 방향으로 진행하여 대소원삼거리를 지나 주덕, 음성, 증평을 지나 청주까지 들어오는 길은 평소나 별반 차이가 없어 잘 돌아 왔다. 이렇게 하여 청주집에 도착을 하니 1840분이다.

오늘 날씨가 좋아서 꽃구경하기도 좋았고, 자작나무숲을 걷기도 좋았다. 손수건을 안가져 갔는대 쓸일도 없었다. 언제 눈이 소복이 내릴 때 자작나무숲 한번더 가야겠다.

 

인제에서 꽃길만 걷자 : 1.30km, 50분 소요

원대리 속이는 자작나무숲~원대봉 : 산행거리 11.1km

산행시간 4시간 04분 소요

 

연료비 : 8만원

저녁식사 : 22000

통행료 : 0(명절 통행료 무료)

~~~~~~~~~~~~~~~~~~~~~~~~~~~~~~~~~~~~~~~~~~~~~~~~~~~~~~~~~~~~~~~~~~~~~~~~~~~~~~~~~~~~~~~~~

인제 원대리 자작나무숲, 용대리 인제에서 꽃길만 걷자 꽃축제

청주 ~인대원대리 자작나무숲 주차장(속삭이는 자작나무숲) : 227km 2시간 50분 통행료 8300

인제 자작나무숲 주차장(원대리 762) ~인제군 북면 십이선녀탕길 16(용대리1795) : 35km 40

 

인제에서 꽃길만 걷자 꽃축제 : 2023. 0922~1015

원대리 속삭이는 자작나무숲 : 휴무일 매우 월~화요일 공휴일이 겯치는 경우 정상운영

32~430일 입산통제

입장료 없음

 

<자작나무숲>

위치: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원대리 산75-22번지\

(* 내비게이션 주소: 인제군 인제읍 원대리 763-4)

면적: 6ha

운영시간: 하절기-09:00~18:00(입산: 15시까지)

동절기-09:00~17:00(입산: 14시까지)

자작나무숲이용안내
1. 탐방객 입산시간 준수 : 동절기(14:00까지), 하절기(15:00까지) 입산가능
2. 동절기 결빙으로 인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장비(아이젠, 등산스틱 등) 필수착용
3. 폭설, 폭우 등 기상이변으로 입산이 통제될 수 있으니, 탐방 전 자작나무숲 안내소(033-463-0044) 문의 후 입산하시기 바랍니다.
4. 겨울철 적설 및 결빙 시 등산화, 스틱, 아이젠 착용은 필수입니다.
6. 적설과 결빙 시에는 원대 임도와 3, 4, 5, 6, 7코스는 통제됩니다.
인제 자작나무숲은 주차장에서 3.2km 떨어진 산중턱에 있으며, 걸어서 약 50~ 1시간 20분 소요됩니다

 

적설과 결빙시에는 원대임도와 3.4.5.6.7코스는 통제된다.

1코스(자작나무코스 1.9km/50) 순백의 숲 집중 새육지역

2코스(치유고스 1.5km/90) 자작나무와 낙엽송이 어우러진 지역

3코스(탐험코스 1.2km/40) 작은 계곡이 함께 있는 지역

4코스(위험코스 3.0km/120) 천연림과 자작나무숲이 조화를 이룬지역

5코스(힐링코스 1.86km/30) 천연림과 자작나무숲을 볼수 있는 지역

6코스(하드코스 2.24km/100) 천연림과 자작나무숲을 볼수 있는 지역

7코스(숏코스 1.0km/50) 천연림을 탐방할수 있는 지역

 

가볍게걷는코스(기본코스)

주차장원정임도(윗길)야외무대(별바라기숲)원정임도주차장:7.3km(3시간~3시간반)

약한난이도코스(탐험코스)

주차장원대임도(아랫길)달맞이숲길갈림길탐험코스(산길)야외무대(별바라기숲)자작나무코스달맞이숲길원대임도(아랫길)-주차장:9.1km(4시간~4시간반)

난이도업코스(달맞이숲길)

주차장원대임도(아랫길)달맞이숲길갈림길달맞이숲길자작나무코스전망대자작나무진입로-야외무대(별바라기숲)탐험코스원대임도(아랫길)-주차장:10km(4시간반~5시간)

 

탐방객주의사항!!
1. 차량이용 금지(원대리 자작나무 숲 주차장 이용, 45인 버스주차 가능)
2. 애완동물 출입금지
3. 음식물 반입 및 야영 금지
4. 인화물질 및 담배 반입 금지
5. 자작나무 및 산림훼손 금지
6. 기타 산림 내 위법행위 금지

***주차비는 5,000원이지만 주차비를 결재하면 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인제 상품권 5,000원을 주기 때문에무료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원대리 산 7522

산림청에 1974년부터 1995년까지 38ha에 자작나무 690.000본을 조림하였다. 7개의 탐방로 운형

자작나무숲 안내소 : 033-463-0044

 

산행코스

주차장임도삼거리원정임도쉼터숲입구1코스갈림길원대봉(882)3코스원대임도주차장 원점산행

산행거리 (10Km) 산행시간 (4시간30)

 

주차장1코스갈림길3코스간이매점원대임도주차장 원점산행및 자유산행

산행거리(7.5Km) 산행시간 ( 4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