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암지맥3 반석역~박산~금병산~보덕봉~오봉산~봉산동
2020.01.15.수요일 맑음
참석인원 : 3명(적막, 딸, 나)
청주 집 07:10 -버스정류장 07:15 ~07:18 -버스비 1300☓2 -오송역 07:45 ~08:00 -990번 버스비 1300☓2 -반석역(해발 약95m) 08:42 -반석역 5번 출구 북쪽 우측골목 -외삼네거리길과 만나는 곳에서 우측으로 -한화 정문앞(박산 0.48m 이정표, 1.09km, 약100m) 08:58 -박산 정상(삼각점,이정표, 1.53km, 약175m) 09:07 -좌측으로 진행하면 1분후 철조망 -철조망 따라 우측으로 -파평윤씨종중묘역으로 내려서서 09:15 -세멘트 길따라 -새누리교회앞 삼거리(좌측으로, 2.46km, 약100m) 09:23 -새미래농장 철문으로 진입 09:26 -좌측으로 보이는 산소지대(안쪽으로 건물보임)로 올라서 능선 -능선 임도에서 우측으로 -1분후 좌측으로 진입 -원형철조망 따라 진행 -통신대 진입로(좌측은 정문, 우측은 운동장) -우측으로 도로따라 나가면 -연병장(4.29km, 약100m) 09:56 -자운대길(통신훈련장 표지석) 09:59 -자운초등학교앞(5.73km) 10:15 -삼거리(좌측으로) -자운사 앞(우측으로) 10:21 -등산로 입구(공군대학 아파트 266동, 6.59km, 약110m) 10:27 -메타세콰이어길 -철계단 -침목계단 -금병산 노루봉(제12봉 창덕봉, 7.54km, 365.2m) 10:55 -제11봉 대법봉 -공군대학, 금병산 0.8km 이정표(의자1개, 7.92km, 약360m) 11:01 -제9봉 감찰봉(표지석, 8.17km, 약365m) 11:05 -금병산 0.6km 이정표(안부 좌 황산리 방향하산로, 8.34km) 11:08 -우 수운교 0.8km 이정표(8.46km) 11:09 -잠시후 제8봉 출세봉 표지석 -금병산 정상석(삼각점, 제7봉 운수봉 표지석, 조망, 8.79km, 약372m) 11:16 -제6봉 연화봉(금병산 뱃지, 표지석, 8.99km) 11:20 -옥당봉(표지석, 삼거리 우측으로, 9.13km, 약383m)11:25 -제4봉 도덕봉 11:29 -346.3봉(삼각점, 용바위봉, 9.70km) 11:32 -내리막 좌측 묘지 -오르막 나무계단 -용바위고개 삼거리(제2봉 일광봉, 표지석, 좌측으로, 10.19km, 약348m) 11:42 -탁상앞 이정표 11:46 -내리막길 -20번 송전탑(10.82km) 11:53 -임도고개 사거리(증골고개, 좌 구룡동, 우 덕진동, 보덕봉1.5km 이정표, 11.05km, 약190m) 11:57 -오르막 -탁상있는 봉 삼거리(우측으로, 11.42km, 약235m) 12:02 -보덕봉1.1km 이정표(우측 산소, 좌꺽임지역, 11.99km, 약190m) 12:07 -경주김씨 묘역 위 능선(12.42km, 약185m) 12:15~12:43(중식) -안부고개(보덕봉0.4km 이정표, 12.57km, 약165m) 12:45 -능선 우측 사면길(안전목책,로프) -능선 삼거리 이정표(보덕봉0.1km 이정표) 12:53 -운동기구 -보덕봉 정상(정자, 산불감시탑, 산소, 삼각점, 오봉산 2.0km 이정표, 13.06km, 약265m) 12:58 -송전탑 삼거리(직진, 우 구즉초등학교, 13.41km, 약220m) 13:04 -212.5봉 -송전탑(13.73km)13:08 -묵묘 -내리막 전주이씨묘 -구룡고개(현재공사중, 좌측으로 내려서서, 14.35km, 약120m) 13:20 -반대편 세멘트길 따라 - 절개지 위 지나고 -오봉산 0.3km 이정표 삼거리(우 구즉초등학교 1.0km, 15.01km, 약200m) 13:34 -통나무계단 -오봉산 정상(정상석, 정자, 운동기구, 15.30km, 240.6m) 13:42 -이정표 사거리(좌 구룡동, 우 봉산동 버스종점 1.3km) 13:50 -여기서 우측 봉산동으로 하산 -1분후 우측으로 법화사길(0.6km) -큰도로(17.08km) 14:06 -봉산동 버스정류장(17.55km) 14:13 -신구교 14:30 -대덕산업단지 BRT버스정류장(19.65km) 14:37 -1001번 버스(1700원☓2) -오송역 15:20 ~15:37 -적십자사 버스정류장 15:53 -부모산 14:14 - 청주집 17:00
~~~~~~~~~~~~~~~~~~~~~~~~~~~~~~~~~~~~~~~~~~~~~~~~~~~~~~~~~~~~~~~~~~~~~~~~~~~~~~~~~~~~~~~~
병산
금병산은 대전광역시 유성구와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걸쳐 있는 해발 372m의 산이다.
금병산 아래 수운교 본산에서 세운 금병산 유래비에 의하면, 신라시대에는 금평산, 고려시대에는 만인산이라 불리다가 이태조(이성계)가 조선 창업의 뜻을 품고 팔도 명산 기도 중 '비단 병풍을 갖추고 치성하라.'는 현몽에 이곳이 바로 비단 병풍 같은지라 금병산(錦屛山)이라 이름하고 산천기도를 드렸다고 한다.
금병산은 유성구 추목동에서 연기군 금남면(현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걸쳐 열두봉우리를 이루고 있는데, 동쪽으로부터 옥련봉, 일광봉(용바위), 공덕봉, 도덕봉, 옥당봉, 연화봉, 운수봉(주봉), 출세봉, 감찰봉, 현덕봉, 대볍동, 창덕봉(노루봉)이다.
금병산 아래 숯골은 수운교 본산이 있다.
<금병산 12봉>
1. 옥련봉 2. 일광봉(용바위) 3. 공덕봉 4. 도덕봉
5. 옥당봉 6. 연화봉 7. 운수봉(주봉) 8. 출세봉
9. 감찰봉 10. 현덕봉 11. 대법봉 12. 창덕봉(노루봉)
보덕봉(236m)
보덕봉은 대전 유성구 송강동의 진산이다. 보덕봉의 모산은 금병산 이다. 금병산 5봉인 옥당봉에서 동쪽으로 가지를 치는 능선이 있다. 이 능선은 금병산 주릉인 용바위 고개를 지나 북동쪽으로 뻗어나가 잠시 가라앉다가 240봉을 일으키고 방향을 동쪽으로 틀어 보덕봉을 빚어 놓는다. 보덕봉의 여맥은 북쪽으로 방향을 바꿔 구룡고개로 낮아졌다가 오봉산(240m)을 일으키고 다시 동쪽으로 뻗어나가 불무산을 빚어놓고 나머지 여맥들을 금강에 가라앉힌다
~~~~~~~~~~~~~~~~~~~~~~~~~~~~~~~~~~~~~~~~~~~~~~~~~~~~~~~~~~~~~~~~~~~~~~~~~~~~~~~~~~~~~~~~~
청주 집 07:10
이번 산행은 관암지맥3구간으로 반석역에서 구룡고개까지 가기로 한다. 한번에 마지막 금강변까지 진행을 할 수도 있으나 겨울철 해도 짧고 여유있게 산행을 하기 위해 2구간으로 나누어 하기로 한다. 이번구간은 교통편이 매우 수월한 구간으로 경비도 가장 적게 나는 구간이라 딸아이한테 함께 가자고 하니 흔쾌히 간다고 한다. 길이 좋으냐고 해서 길은 매우 좋다고 하고선~~ 우쨋든 우리는 집에서 07시 10분 출발하고, 천안에서 오는 적막님은 천안아산역에서 고속열차로 오송역에 도착하여 만나기로 한다.
반석역(해발 약95m) 08:42
집을 나서 가까운 버스정류장에 도착하여 잠시후 도착한 조치원행 502번 버스에 승차하여 20분이 좀 더 넘어 오송역에 도착한다. 오송역사로 들어가 10여분 기다리니 적막님이 도착을 한다. 오송에서 반석역까지 운행하는 990번 버스에 올라타니 금시 출발을 한다. 08시 출발한 버스는 세종시를 거쳐 반석역에 도착하니 08시 42분이다. 저번에 갈 때도 정확히 42분이 걸렸는데 오송에서 이곳으로 올 때도 정확히 42분이 걸린다.
박산 정상(삼각점,이정표, 1.53km, 약175m) 09:01
반석역 북쪽 횡단보도를 건너 반석역 6번 출구를 지나고, 5번출구를 지나면 우측으로 좁다란 소로 길이 나온다. 이 길을 따라 들어가서 우측으로 골목으로 들어가지 말아야 하는데 공연히 가로질러 간다고 갔더니 수양원에서 길이 막힌다. 다시 돌아 나와 소로 길을 따라 가면 반석역 북쪽 외삼네거리에서 우측으로 들어온 길과 만나는 곳이 나온다. 이곳에서 우측으로 도로를 따라 들어가면 고속도로 아래를 지나고 좀 더 가면 앞쪽으로 더 이상은 갈수 없는 한화 정문이 나온다. 정문지기가 쳐다보지만 우리는 그곳으로 들어 갈 것이 아니니 신경 쓸 것 없다. 우측으로 안전로프가 쳐진 길이 보이는 곳으로 오를 것이다. 앞쪽에 박산 0.48km가 적힌 이정표가 나온다. 이곳으로 오르면 유치원에서 매어놓은 놀이시설을 지나고 우측으로 반석역 부근의 아파트단지와 뒤편으로 우산봉, 신선봉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조망되는 지점을 지나 계단을 따라 서서히 오르면 삼각점이 있고 이정표에 송림마을 아파트 0.42km가 적혀 있으며 운동기구가 설치된 박산 정상에 닿는다.
자운대길(통신훈련장 표지석) 09:59
박산 정상에서 송림아파트 단지 길로 내려서서 큰길을 따라 가면 편하겠지만 박산에서 좌측 편으로 들어간다. 어짜피 노루봉까지는 지맥을 따라 갈수 없는 길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좀 더 가까이 가기 위함이다. 좌측으로 들어가면 금시 한화 철조망이 나온다. 철조망을 따라 우측으로 진행을 한다. 가시나무에 걸리고 길이 좋지를 않다. 가끔씩 다니는 지맥꾼의 일부만 다닌 길이다. 철조망을 따라 8분여 진행하면 앞쪽으로 여러기의 산소가 있는 묘역이 나온다. 이곳에서 더 이상 철조망을 따라 진행하지 않고 산소아래 민가를 향하여 내려선다. 민가 뒤편으로 파평윤씨 종중묘역 표지석이 자리잡고 있다. 여기부터는 세멘트 포장길을 따라 나가면 6분후 새누리교회 앞에 닿는다. 이곳에서 좌측으로 소로길을 따라 가다가 몇 분후 좌측으로 빠지는 길이 나오면 그 길을 따라 들어가면 새미래농장 입구 철문에 닿는다. 철문이 열려 있어 그냥 이 길을 따라 들어가면 하이베리 농장을 지나 좌측 밭으로 내려서서 위쪽에 보이는 여러기의 산소가 있는 방향으로 개울을 따라 오르면 산소가 있는 곳에서 좌측으로 커다란 건물이 보인다. 건물 옆으로 철조망이 쳐져 있으며 더 이상은 진입이 불가 하다. 여기서 산소를 따라 위로 오르면 능선에 닿는다. 능선에는 널찍한 임도가 나 있으며 좌측으로 가면 곧 철조망에 막혀 더 이상 갈수가 없으며, 우측으로 조금 내려서면 좌측으로 표지기 몇 개가 보이는 지점으로 진입을 한다. 금시 원형철조망이 나오고 원형철조망을 따라 진행을 하면 그 끝에서 좌측은 통신대 정문, 우측은 널찍한 연병장이 있는 도로에 닿는다. 이곳에서 도로를 따라 우측으로 나가면 연병장을 지나서 잠시후 자운대길 통신훈련장 표지석이 있는 다리 앞에 닿는다.
등산로 입구(공군대학 아파트 266동, 6.59km, 약110m) 10:27
자운대길에 도착하면 도로를 따라 좌측으로 진행을 한다. 널찍한 도로를 따라 직선으로 이어지는 도로를 따라가니 심심하고 지겹다. 도로변의 목련은 벌써 꽃망울이 맺기 시작한다. 군부대 영점사격장 앞을 지나고, 자운대옆을 지나서 오르면 좌측으로 군사우편국, 우측으로 자운초교를 지나고 쇼핑센타를 지나서 삼거리가 나오면 좌측으로 진행을 한다. 잠시후 좌측으로 자운사 대웅전이 보이고 여기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도로를 따라 오르면 군인아파트 노인정 정류장을 지나고 좀 더 올라서 좌측으로 오르면 금병산 등산안내도가 있는 공군아파트 266동 옆쪽이다. 여기 이정표에 금병산 0.8km가 적혀 있다.
금병산 노루봉(제12봉 창덕봉, 7.54km, 365.2m) 10:55
금병산 등산안내도를 뒤로 하고 오르기 시작하면 메타세콰이어길이라고 해서 심은지 얼마되지 않은 가느다란 나무숲을 따라 간다. 이 길이 끝나는 지점부터 서서히 오르기 시작하고 좌측으로 개울물 흐르는 소리가 나며 작은 폭포가 나오고 이어서 오르면 철계단이 나오고 이후 오르는 길은 점점 가파르게 오른다. 좌측 능선으로 철조망이 보이며 가파르게 오르는 침목계단을 따라 숨이 차게 오르면 등산로 입구에서 30여분후 금병산 노루봉이라고 표지판이 붙어 있는 봉에 닿는다. 노루가 명당터를 잡아준 산이라고 하여 노루봉이라고 하였다는 안내판이 있으며 실제로 여기에는 산소가 있다. 노루봉을 다른 이름으로 금병산 제12봉인 창덕봉이라고도 부르며 삼각점이 있으며 우측 봉 너머로 높다란 철조망이 쳐져 있으며 감시카메라가 쳐다보고 있다. 여기서 좌측으로는 대전둘레산길로 거칠메기고개로 이어지고, 우측으로 진행을 하면 용바위고개를 거쳐 구룡고개로 향하게 된다.
옥당봉(표지석, 삼거리 우측으로, 9.13km, 약383m)11:25
금병산 노루봉에서 우측으로 진행을 하면 길은 매우 좋다. 대부분 조금씩 오르내리는 길로 길이 좋아서 빠르게 진행이 된다. 잠시 가면 제11봉 대법봉이란 표지가 보이는데 표지석은 어디 있는지 보이지 않는다. 이후 공군대학과 금병산이 모두 0.8km가 적혀 있는 이정표를 지나고 우측 아래 제9봉 감찰봉 표지석이 작은 바위아래 있으며 이후 3분을 더 가면 좌측 황산리로 하산로가 있는 금병산 0.6km 이정표를 지나서 다시 3분을 더 가면 우측 수운교 0.8km, 금병산 0.4km 이정표가 있는 위쪽으로 제8봉 출세봉 표지석이 있다. 이후 축대가 쌓여진 봉을 지나서 안부로 내려섰다가 다시 오르면 금병산 정상석이 있는 제7봉 운수봉이다. 우측으로 자운대 방향으로 조망이 트여 있어 전체적인 자운대의 모습을 볼수 있으며 삼각점이 있는 실제적인 금병산의 정상이다.
금병산 운수봉에서 4분여 가면 제6봉인 연화봉으로 금병산 트랭글 뱃지는 이봉에서 준다. 이봉에는 금병산에 대한 내력이 적혀 있는 표지석이 있다. 신라시대에는 금평산, 고려시대에는 만인산, 조선을 개국하며 비단병풍같은지라 금병산이라 했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연화봉에서 다시 5분을 더 가면 봉 꼭대기에 관리를 하지 않는 산소가 있는 옥당봉이다. 좌측으로는 세종시로 향하고, 우측으로 가면 지맥길이다. 여기 이정표에 용바위고개 1.2km가 적혀 있다.
용바위고개 삼거리(제2봉 일광봉, 표지석, 좌측으로, 10.19km, 약348m) 11:42
옥당봉에서 우측으로 서서히 내려서면 우회 길과 만나고 다시 능선의 평탄한 길을 따라 진행을 하면 제4봉 도덕봉이라고 하는 표지가 보이지만 표지석은 보이지 않는다. 이후 3분을 더 가면 삼각점이 있는 해발 약346.3봉에 닿는다. 이봉에는 용바위봉이라 아스테지 표지를 붙여 놓았다. 이름이 붙어 있는 봉이 많기도 한곳이 이곳이다. 여기서 내려서는 길에 좌측으로 커다란 산소가 한기 있다. 숭정대부를 지냈다는 고공의 묘지다. 이후 안부를 지나고 다시 오르면 제2봉인 공덕봉이라고 있다는데 표지석은 보지 못했다. 이후 오르막 나무계단을 따라 오르면 용바위고개라고 하는대 고개가 아니고 봉이다. 좌측으로는 보덕봉으로 향하는 지맥길이고 우측으로 향하면 제1봉인 옥련봉과 적오산성으로 향하는 길이 갈리는 삼거리봉인 제2봉인 일광봉 표지석이 있다. 이정표에 적오산 2.9km, 보덕봉 3.0km가 적혀 있다. 여기 안내문에 승천을 기다리는 이무기 세 마리가 살고 있었는데 날이면 날마다 피투성이가 되도록 싸웠다는 이야기와 어느 비오는날 하늘에서 천룡이 내려와 승천차비를 다그쳐 끌로 나왔으나 피투성이 모습으로 보고는 이맛살을 찌루리며 올라타라 하고는 서해바다로 가서는 바닷물에 떨어뜨리며 천당에 입문하는 굴을 주어 수도를 기다렸거늘 매일 싸움만 하였으니 미물만도 못하다.하고는 천룡의 종이 되어 천년을 기다리라하고는 사라졌다 하며 아직도 승천을 하지 못하고 종노릇을 하고 있는 용세마리는 이곳 금병산 용바위에서 싸움을 그치고 백년에 하나씩 용이 승천하고 있다하는데 현재도 금병산의 세굴에는 승천을 기다리는 이무기가 살고 있다고 한다. 역시 항시 싸움을 그만두고 차카게 살아야 하는 것이다.
탁상있는 봉 삼거리(우측으로, 11.42km, 약235m) 12:02
용바위고개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진행을 한다. 잠시 평탄한길을 따라 진행하면 평상이 있으며 이정표에 보덕봉 2.7km가 적혀 있는 곳에서 산길은 우측으로 방향이 꺽이며 가파르게 내려서기 시작한다. 7분여 가파르게 내려서면 20번 송전탑이 나오고 뒤에서 힘차게 뛰어 내려오는 여성한분이 우리 앞을 가로 질러 간다. 이후 산길은 평탄해지며 4분을 더 가면 임도고개 사거리에 닿는다. 증골 고개라 하며 좌측으로 내려서면 구룡고개 북쪽 구룡동으로 향하고, 우측으로 내려서면 덕진동으로 향하는 널찍한 임도길이다. 여기 이정표에 보덕봉 1.5km가 적혀 있다. 잠시 더 오르면 용바위고개 1.3km, 보덕봉 1.7km, 구룡동이 적혀 있는 거리가 조금 전 이정표 보다 좀 더 멀어진 이정표가 있는 탁상과 의자가 있는 봉에 닿는다. 좌측으로는 구룡동, 세종시 방향으로 이어지며 지맥길은 여기서 우측으로 급틀해야 한다.
보덕봉 정상(정자, 산불감시탑, 산소, 삼각점, 13.06km, 약265m) 12:58
탁상이 있는 삼거리봉에서 우측으로 급틀에서 서서히 내려선다. 한동안 내려서면 우측으로 우회하여 온 길이 보이고 이후 평탄한길을 따라 진행을 하면 보덕봉 1.1km가 적혀 있고, 의자가 설치된 봉에서 산길은 좌측으로 급틀하여 진행하며 급틀하는 우측으로 커다란 산소가 있다. 이후 평탄한 잘 닦여진 길을 따라 진행을 하면 앞쪽으로 능선 우측으로 많은 산소들이 들어찬 산소지대가 보인다. 잠시 후 산소지대 위쪽 따스한 능선에 자리를 잡고 점심식사를 한다. 경주김씨 묘역으로 묘역 아래쪽으로는 널찍한 공터가 보이며 그 아래쪽으로는 원자력 연구원이 자리잡고 있는 곳이다. 이곳에서 점심식사를 마치고 다시 진행을 하면 2분이면 안부고개에 닿는다. 좌측은 구룡동, 우측은 관평동 방향이다. 여기 이정표에 보덕봉 0.4km가 적혀 있다. 여기서 능선을 따라 오르면 중간쯤에서 우측사면으로 난 안전목책길을 따라 진행을하여 우측편 구즉동 두리중학교 쪽에서 올라온 능선에 붙는다. 여기 이정표에 두리초등학교 1.2km, 보덕봉 0.1km가 적혀 있다. 여기서 좌측으로 널찍한 능선 길을 따라 오르면 잠시 후 보덕정이란 정자가 나오고 정자에 올라서 보는 구즉동과 신탄진일대의 모습이 시야에 들어온다. 조망이 매우 좋은 정자다. 정자를 지나서 운동기구가 있는 지점을 지나서 오르면 산불감시탑이 있고 우측으로 산소가 있는 보덕봉 정상이다. 산소 옆으로 삼각점이 있고, 산불감시초소 철조망에 보덕봉 표지판이 걸려 있다.
구룡고개(현재공사중, 좌측으로 내려서서, 14.35km, 약120m) 13:20
보덕봉 정상 이정표에 용바위고개 3.0km, 오봉산 2.0km, 송강중학교 1.2km가 적혀 있다. 여기서 오봉산 방향으로 향한다. 산길은 이곳도 나쁘지 않다. 신갈나무 우거진 오솔길을 따라 서서히 내리막 능선 길을 따라 진행하면 6분후 우측으로 구즉초등학교 방향으로 하산길이 있는 송전탑 삼거리에 닿는다. 이후 내려서서 다시 오르면 212.5봉에 닿고 잠시 후 송전탑을 지나 이제 서서히 내려서면 풀한포기 없는 묵묘를 지나서 서서히 내려서면 우측으로 도로 공사중인 구룡고개 절개지가 나타나며 산길은 좌측 편으로 내려서게 된다. 생태통로 공사가 완공이 되면 산길도 여기서 변하게 될 것 같다. 이후 내려서면 우측으로 전주이씨 묘지가 보이고 다시 절개지 옆길을 따라 내려서면 구룡고개 북쪽편 도로에 떨어진다. 앞쪽으로 구룡동 마을이 가까이 보이는 곳이다.
오봉산 정상(정상석, 정자, 운동기구, 15.30km, 240.6m) 13:42
구룡고개 북쪽에서 앞쪽에 보이던 세멘트 길을 따라 절개지 위로 올라야 하는데 첫머리에 포크레인으로 파헤치며 길을 못 가게 만들었다. 옆으로 피해서 절개지로 오르려니 포크레인 기사가 못 간다고 말한다. 그런다고 안갈쏘냐!! 손짓으로 돌아서 올라간다고 하니 더 이상 대꾸를 하지 않는다. 우쨋든 미끄러운 절개를 따라 세멘트 도로에 올라선 후 진행하면 절개지위로 오르는 흙계단 길이 나온다. 절개지를 따라 오르는 길로 아래쪽으로는 까마득한 구룡고개 공사 현장이 보인다. 이렇게 오르면 절개지 끝 지점 이정표에 오봉산 0.6km가 적혀 있다. 이제 능선을 따라 오르게 되면 5분여 더 올라서 구즉초등학교와 오봉산이 갈리는 삼거리 길에 닿는다. 이곳에서 하산을 해도 되고 오봉산을 지나서 하산을 해도 되는데 적막과 딸 둘이서 오봉산으로 향한다. 여기서 오봉산은 0.3km, 구즉초등학교는 1.0km가 적혀 있다. 여기 삼거리에서 오봉산으로 향하면 앞쪽으로 통나무 계단이 보이는 좌측으로 우회길이 있고 정면 통나무 계단을 따라 오르면 의자2개가 설치된 쉼터를 지나고 굵직한 신갈나무 지대를 따라 더 오르면 멋지게 서 있는 정자가 있고, 작은 정상석이 있으며 운동기구가 있는 오봉산 정상에 닿는다. 앞쪽으로 금강을 건너는 교량들, 교량너머로 한국타이어 킴벌리, 한솔제지등이 있는 공단이 보이고 공단 뒤로 높다란 금강변의 신탄진 엑술루 타워아파트와 그 옆으로 고속도로 다리, 철다리가 보이며 멀리 뾰족한 봉은 대청호 변 구룡산이다.
대덕산업단지 BRT버스정류장(19.65km) 15:37
오봉산에서 이제 서서히 내려서기 시작한다. 8분여 내려서면 이정표가 있는 사거리에 닿는다. 좌측으로 돌무더기가 있는 백운사쪽 고개가 보이고, 이정표에는 구룡동 1.1km가 적혀 있으며, 우측으로 내려서면 봉산동 버스종점 1.3km가 적혀 있으며 정면으로 다음번에 이어갈 소문산성 8.0km가 적혀 있다. 이제 이곳에서 우측으로 하산을 시작한다. 1분여 가면 우측으로 법화사로 내려가는 길이 있고, 능선을 따라 진행하면 대부분 평탄한 능선으로 좌측으로 송유관공사가 보이는 지점에서 우측으로 내려서기 시작하면 계단을 따라 내려서서 잠시 후 큰길도로에 닿는다. 이후 좌측으로 버스차고를 지나고, 잠시 더 가면 ‘뒷바구니 봉산3동’커다란 표지석 앞쪽으로 봉산동 협진운수 버스정류장이 나온다. 적막님은 금시 닿아오는 급행2번 버스를 타고 신탄진역으로 향하고 우리 둘은 걸어서 신구교를 건너 대덕산업단지 BRT버스정류장에 도착하여 산행을 마감한다.
돌아오는 길
대덕산업단지 BRT버스정류장은 고가도로 위에 있어 승강기를 타고 올라야 한다. 고가 아래 이정표에 세종시 방향과 대전역 방향이 잘 표시되어 있다. 세종시 방향정류장으로 올라가니 기사님들 교대시간이라 버스가 잠시 멈춰있어 금시 버스를 타고 세종시를 거쳐 오송역에 도착하니 여기도 43분 정도가 걸린다. 이후 오송역 대합실에 들어가 볼일보고 나와 청주로 들어가는 버스를 기다려 오는 중에 적십자사 정류장에 내려서 부모산을 올랐다가 집에 돌아오니 정확히 17시다
산행시간 : 5시간 55분소요
산행거리 : 19.65km
청주 ~오송역 버스비 : 1300x2
오송역 ~반석역 버스비 : 1300x2
대덕산업단지~오송역 버스비 : 1700x2
오송역~청주 버스비 : 1300x2
'산행기(2000년 부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95 캄보디아 앙코르왓, 베트남 사파, 하롱베이 여행2020.01.21.~26 화~일요일( 사파트레킹및 판시판산, 하롱베이) (0) | 2023.02.12 |
---|---|
1194 안성 팔룡산~백연봉~만세고개~고성산~대이산~백운산~원남,기남방송삼거리 2020.01.19.일요일 흐림 (0) | 2023.02.12 |
1192 관암지맥2 민목재~관암산~백운봉~도덕봉~관음산~갑하산~금베산~우산봉~흔적골산~반석역2020.01.09. 목요일 맑음 (0) | 2023.02.11 |
1191 홍성 백월산,서산마애삼존불 2020.01.07.화요일. 겨울 비 (0) | 2023.02.11 |
1190 관암지맥1 민목재~향적봉~쌀개봉~관음봉~삼불봉~동학사주차장 2020.01.03..금요일, 짙은 미세먼지 (0) | 2023.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