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 덕유지맥2-2 싸리재~고산~감투봉~대덕산
고산 875.8m, 감투봉 838m, 대덕산 592m
2022.05.19. 목요일 맑음
참석인원 : 나홀로
청주 집 06:00 –서청주 톨게이트 –무주톨게이트(도로비 5100원) 07:00 –안천 –싸리재(진안군 동향면 자산리 산91-1, 해발390m) 07:21 ~07:28 –싸리재 구길 농원 우측으로 진입 –그물망 넘고 –잡목사이로 – 오르며 좌측 능선으로 –547봉(0.903km) 07:55 ~08:46 –안부(1.44km, 약485m) 08:50 –30초후 우측 길(직진) -안부사거리(좌 자산리 고산골, 우 신괴리 자사마을, 1.61km, 약485m) 08:53 –급경사 오르막(길 없음) -능선마루(바위지대, 2.01km, 약700m) 09:23 –완만한 능선 –해발 약780봉(2.26km) 09:38 –산불감시탑(우 블로치터널로 이어짐, 2.35km, 약805m) 09:43 –내리막 바위지대 로프 –안부 –오르막길 –고산 정상(2.87km, 875.8m) 10:06 ~10:18 –헬기장(3.28km, 약845m) 10:25 ~10:32 –고산골 갈림1 이정표(3.38km, 약820m) 10:34 –바위,로프(3.69km, 약760m,) 10:41 –고산골 갈림2 이정표(3.86km, 약730m) 10:44 –오르막길 –감투봉(4.43km, 약838m) 11:00 ~11:02 –바위지대 내려서고 –이정표 삼거리(우측으로, 4.09km, 약790m) 11:06 –너덜지대 11:09 –조망바위(마이산, 용담호, 4.86km, 약740m) 11:15 –쉰질바위 우측 우회로 고산골 갈림3 이정표(5.37km, 약700m) 11:33 –살며시 올라 쉰질바위 끝 바위지대(5.55km, 약730m) 11:44 –잠시 쉰질바위쪽으로 다려와서 –바위끝 우측 우회길 –능선(걷기 좋음) -뾰족바위(6.06km, 약670m) 11:53 –서서히 내려서서 안부(6.39km, 약600m) 12:02 –해발 약610봉(6.51km) 12:07 –서서히 내려서고 –안부 –바위길 따라 –대덕산(6.95km, 약592m) 12:18 –내리막 로프1 12:23 –내리막로프2 12:28 – 계곡로프1 12:32 –계곡로프2 12:37 –등산로 끝 임도길(좌측에 보이는 임도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2km 나가면 구룡교차로, 7.80km, 약275m) 12:45 –임도따라 우측으로 –대덕사(8.00km, 약300m) 12:49 –계곡(8.42km) 12:55~13:12(중식) -임도 우측 대덕바위 등산로 입구(9.12km, 약315m) 13:21 –비포장임도(9.56km) 13:31 –국가지점번호(9.72km) 13:34 –다시 세멘트포장 임도 –계류 건너고 –비포장임도(9.98km, 약480m) 13:38 –세멘트 포장길(10.20km) 13:44 –우측 마지막 고산 등산로 입구(10.45km, 약510m) 13:49 –이후 잠시 비포장 –포장 –비포장 임도 고갯마루(10.68km, 약525m) 13:54 –내리막 임도길 –임도길 끝지점 쇠사슬(11.22km, 약460m) 14:02 –잠시더 내려서다 우측으로 잡목 사이로 넘어가면 능선길 나옴 –내리막 능선길 –묵밭(우측으로, 11.66km, 약380m) 14:12 –신괴리 자사마을길(11.82km, 약320m) 14:21 –좌측으로 내려서서 삼거리에서 우측 아스팔트길 따라 –자사마을 버스정류장 14:26 –큰길(밖아담버스정류장, 12.95km, 약310m) 14:45 –도로따라 서서히 올라서서 –싸리재(14.89km, 약390m) 15:00 ~15:05 –삼유리 도류마을 위쪽 임도고개 15:38 ~17:20 –무주 톨게이트 17:35 –서청주 톨게이트 18:36 – 청주 집 18:50
~~~~~~~~~~~~~~~~~~~~~~~~~~~~~~~~~~~~~~~~~~~~~~~~~~~~~~~~~~~~~~~~~~~~~~~~~~~~~~~~~~~~~~~
진안군 (鎭安郡 )은 전라북도 북동부에 있는 군으로 북동쪽은 무주군 , 남동쪽은 장수군 , 서쪽은 완주군 , 남서쪽은 임실군과 접하며 , 북쪽은 충청남도 금산군과 도계 (道界 )를 이룬다 . 1 개 읍 10 개 면으로 이루어졌고 , 군청 소재지는 진안읍 군하리 (郡下里 )이다 . 노령산맥 동쪽 사면과 소백산맥 서쪽 사면 사이에 위치한 산간 고원지대로 , 80.22%가 산악지대이다 . 고랭지채소 재배가 활발하며 , 도립공원인 마이산이 있다 . 군의 동부는 소백산맥의 서쪽 사면과 이어진 높이 300m 내외의 진안고원이 있다 . 서부는 노령산맥의 주능선인 운장산 (雲長山 , 1,126m)·만덕산 (萬德山 , 762m) 등의 비교적 높은 산들이 있다 . 호남의 지붕이라고 일컬어지는 진안고원은 금강과 섬진강의 발원지이다 . 금강은 장수군 장수읍 수분리 수분령 (水分嶺 , 530m)에서 발원하여 진안읍 ·정천면 ·용담면을 거쳐 무주군으로 흘러 들어간다 . 섬진강은 백운면의 팔공산 북쪽에서 발원하여 마령면 ·성수면을 거쳐 임실군으로 각각 흘러들어 간다
백두덕유지맥
백두대간 덕유산 백암봉에서 대간은 남쪽으로 흐르고 한줄기를 북쪽으로 분기하여 무주군 안성면과 설철면의 경계를 따라 중봉(1594.3m), 덕유산 향적봉(1614.2m), 설천봉(1520m) -1232봉 –검령 –두문산(1051.2m)에서 동북쪽으로 성지산(992.2m)을 떨구고 서북진 한다. 895봉을 지나고 등고선상 810m 지점에서 북쪽으로 적상산(1029.2m)을 떨구고 서남진한다. 노전봉(570.5m) -안성치(510m) -오도치임도(530m) -어각산(679m) -어각치(550m) -봉화산(885.6m)에서 북쪽으로 마향산(730.4m)을 떨구고 서남진한다. 도치(750m) -802봉 –마분치(570m) -692봉에서 서북방향으로 조항산(799.3m)을 떨구고 서남진 한다. 노루고개도로(490m) -647봉 –국사봉(756.6m) -등고선상 630m 지점에서 북쪽으로 지장산(772.9m)을 떨구고 서남진한다. 537.5봉 –수치(390m) -鼓山(고산) -대덕산(875.8m)어깨 –870봉 –501.0봉 –불로치터널(410m) -439봉 –대양치임도(390m) -476.6봉 –오리목(290m)지나 진안군 정천면 망화리 이포마을 용담댐(230m)에서 끝이나는 산줄기를 말하는데 그 끝자락이 용담댐을 건설하면서 이포마을이 없어지면서 약500m 정도가 수몰되었으므로 현실적으로는 약 37km의 산줄기를 말한다고 할수 있다.
출처/우리산줄기 이야기
덕유산 주변 대간/지맥 /분맥
■소위 덕유지맥이란 백두대간 백암봉에서 서쪽으로 갈라져 덕유산(향적봉), 두문산, 봉화산 및 마향산을 거쳐 금강에 맥을 다하는 31.9km의 무주지역의 지맥으로 좌로는 금강을 우로는 무주남대천을 구분짓는다.
덕유지맥은 분맥들이 많이 있다. 백두대간 무룡산 지나 지봉 못 미쳐 북서쪽으로 분기한 덕유지맥은 두문산에서 백운분맥을, 두문산 지나 적상분맥을, 봉화산 지나 조항분맥을 불당산 못 미쳐 국사분맥을 가지치고 있다.
► 백운분맥은 치마산, 성지산, 깃대봉과 백운산을 지나 무주 남대천으로 맥을 다하는 길이 15km 마루금으로 좌로는 상곡천으로 우로는 원당천으로 흘러드는 지류를 흐르게 한다.
►적상분맥은 단지봉, 적상산, 절산을 지나 금강으로 맥을 다하는 길이 20km 마루금으로 좌로는 적상천으로 우로는 상곡천으로 흘러드는 지류를 흐르게 한다.
►조항분맥은 불당산, 고왕산, 917봉, 큰변득산, 조항산, 고노산을 지나 금강으로 맥을 다하는 길이 20km 마루금으로 좌로는 안창천으로 우로는 삼류천으로 흘러드는 지류를 흐르게 한다.
► 국사분맥은 국사봉, 형제봉, 쌍교봉, 지장산, 지소산을 지나 금강으로 맥을 다하는 길이 20km 마루금으로 좌로는 용담댐으로 우로는 안창천으로 흘러드는 지류를 흐르게 한다.
■고산(鼓山875m)은 전북 진안군 상전면·동향면 용담호를 내려다보는 후덕한 이름의 산 대덕산의 주봉이다. 실제로 마을 주민들은 죽도 북쪽에 있는 산줄기 전체가 대덕산이고, 정상은 지도에 ‘고산’으로 표기된 고산봉(875m)이며 서쪽에 솟은 봉우리는 감투봉(838m)으로 부르고 있다. 산 이름은 대덕산·주봉은 고산(鼓山875m깃대봉).병풍바위와 정상 조망 탁월하며, 지도상 대덕산(593m)가는 능선상 쉰질바위 우회길이 험하고 대덕산(593m)이후 계곡 더덜길이 거칠고 힘들다. 감투봉 지나 3번째 고산골 갈림이정표 이후 쉰길바위능선, 대덕산 하산길의 등산로 정비가 없어 초보자는 삼가 하는 것이 좋겠다.
지역주민에게 큰 덕을 베푸는 산이라 전하는 대덕산은 우리나라에 같은 이름의 산이 많다. 상전면의 명산으로 불리는 대덕산은 한국전쟁 때 수리밭골에서 국군과 빨치산 간에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어도 사망자가 한 명도 없었다고 하여 주민들에게 큰 덕을 베푼 산이라 전한다.
고산봉(鼓山峰875m)은 옛날 이 산에 있었던 사찰에서 북소리를 들었다는 의미이며, 일제강점기 고산봉에 깃대를 꼽고 측량을 했다 하여 깃대봉으로도 불린다.
산줄기는 백두대간 백암봉에서 덕유산 향적봉으로 뻗어 나온 덕유지맥이 그 뿌리로 두문산~봉화산~국사봉을 거쳐 대덕산 고산봉을 솟구친 뒤 용담호로 숨어든다. 물줄기는 남쪽에서 발원한 장수 뜬봉샘에서 흘러온 금강의 원류인 진안천과 동쪽은 덕유산에서 발원한 구량천이 죽도에서 합류하여 금강을 이루어 군산 하구둑에서 서해로 흘러든다. 행정구역은 진안군 상전면, 동향면의 경계를 이룬다.
■대덕산(593m)은 진안군 상전면 용평리에 소재한 산이다. 수동리와 진안읍 가막리 경계에는 같은 이름을 가진 대덕산(602m)이 있다. 대덕산의 동쪽에는 죽도(竹島)가 있는데, 이곳에서 동향면에서 흘러오는 대량천과 전라북도 장수군 뜬봉샘에서 시작되는 장수천이 만나서 금강 본류를 이루면서 용담댐으로 흘러간다. 대덕산은 정상에서 내려다보이는 용담호의 절경을 보기 위해 매년 천여 명의 등산객이 다녀간다. 또한 진안군 상전면에서 2009년 6월부터 희망 근로 프로젝트 사업인 ‘대덕산 등산로 정비 사업’을 시행해 오고 있다. 대덕산 등산로 정비 사업은 주요 분기점 5개소에 방향 표시판을 설치해 등산객들의 조난을 방지하고, 위험 구간 안전 로프 설치 및 노후 로프 교체, 말벌 집 제거 등을 통해 등산객들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다. 아울러 등산 장애물 제거, 수목 제거, 자연 친화적인 목계단 설치 등을 통해 등산객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외송에서 깃대봉에 이르는 6.1㎞의 새로운 산행 코스를 신설하기도 하였다.
■죽도는 육지의 섬으로 정여립이 군사를 조련했다는 천반산 산성터가 부근에 있어 관광지로 유명한 곳이다. 죽도는 정여립이 대동계를 조직해 모반을 꾀하고있다는 내용의 고변이 조정에 들어와 체포령이 내려지자 죽도로 피해 자결한다. "정여립 모반사건"으로 알려진 "기축옥사"다. 기축옥사 이후 많은 보수세력이 죽임을 당해 무방비 국력은 임진왜란의 참화로 연결되는 것이 오늘의 정치현실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감투봉(838m)과 대덕산(593.4m)은 고산(鼓山875m)과 같은 전라북도 진안군 상전면과 진안군 안천면 및 진안군 동향면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모산은 덕유지맥 상의 국사봉이다. 덕유산 백암봉에서 무주군 부남면 대소리로 이어지는 덕유지맥이 국사봉을 지난 능선 분기점에서 남서쪽으로 가지를 쳐 고산을 일구고, 고산을 일군 산줄기가 북서쪽으로 가지를 쳐 빚어 올린 봉우리가 건넘산이다. 감투봉은 고산에서 서남쪽으로 가지를 친 산줄기가 빚어 올린 봉우리이고, 대덕산은 감투봉에서 북서쪽으로 가지를 친 산줄기가 빚어 올린 봉우리이다. 건넘산을 일군 산줄기는 진안군 상전면 구룡리에서 그 맥을 용담호에 넘겨주고 있고, 감투봉과 대덕산을 일군 산줄기는 진안군 상전면 월포리에서 그 맥을 용담호에 넘겨주고 있다. 고산과 감투봉은 동향면 성산리와 상전면 수동리 및 월포리 등에서 산행을 시작할 수도 있다.
~~~~~~~~~~~~~~~~~~~~~~~~~~~~~~~~~~~~~~~~~~~~~~~~~~~~~~~~~~~~~~~~~~~~~~~~~~~~~~~~~~~~~~~~~
청주 집 06:00
오늘도 덕유지맥을 하러간다. 총 8구간으로 나누었는 대 오늘이 4번째로 저번에 싸리재에서 국사봉~봉화산~어각치 산행에 이어 오늘은 싸리재에서 시작하여 고산을 거쳐 감투봉~대덕산으로 이어지는 산행을 하려 한다, 더러는 죽도고개로 진행을 하기도 하였고 산불감시탑이 있는 봉에서 불로치고개로 진행을 하기도 하였으나 난 고산을 거쳐 대덕산에서 용담호에서 맥을 다하는 산줄기를 하기로 한다. 싸리재에서 고산으로 오르는 구간은 길이 없을 것으로 보이며 거리는 짧지만 시간이 많이 걸린 것으로 보아 산행 난이도가 상당히 높은 곳이다. 오늘도 편의 상 집에서 싸리재 까지 승용차로 이동을 하기로 한다. 집에서 오늘은 06시 출발을 한다.
싸리재(진안군 동향면 자산리 산91-1, 해발390m) 07:21 ~07:21
저번에는 무주 안성까지 승용차로 이동을 하여 안성에서 동향을 거쳐 진안까지 운행하는 버스로 싸리재로 접근을 하였으나 오늘은 직접 싸리재 까지 가기로 한다. 집을 출발하여 서청주 톨게이트로 진입을 하여 1시간을 달리면 무주톨게이트로 빠져나온다. 도로비 5100원이다. 이후 좌측으로 널찍한 길을 따라 달리면 적상면에서 우측으로 빠져나가 진안방향으로 달린다. 첫 번째 산행때 산행을 시작한 조금재 터널을 지나고 삼유리를 지나면 장안리에 닿는다. 무주 부남면 장안리다. 장안리에서 율치고개를 넘으면 이제부터는 진안군 안천면이다. 율현마을을 지나고 안천초등학교 앞을 지나 삼거리에서 직진을 가면 안천면소재지다. 여기서 좀 더 진행하여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진행하면 동향으로 넘어가는 길이다. 이 길을 따라 진행하면 오늘 내가 임도길을 따라 넘어올 신괴리 자사마을이 우측으로 보이고 그 뒤편으로 높다랗게 서 있는 산이 고산이다. 멀리서 보아도 상당히 급경사지대로 올라야한다. 싸리재 고개를 넘어 구도로 쪽으로 방향을 틀어 차를 도로 한켠에 주차을 한다.
547봉(0.903km) 07:55 ~08:46
싸리재에 도착을 하여 저번에 산행을 시작한 반대방향으로 진행을 한다. 구도로를 따라 서서히 오르면 고갯마루지점에 농원이 있다. 농원 우측 편으로 들어가 우측으로 잠시 들어가면 그물망이 쳐져 있다. 농원으로 짐승들이 침입을 못하게 쳐 놓은 그물망이다. 그물망을 넘어서면 커다란 물통같은 것이 있고 그 사이 능선을 따라 잡목을 헤치고 올라선다. 위로 오르며 좌측 능선으로 올라서서 진행을 하는 것이 조금 수월하다. 오르는 길에 산양삼재배지라고 출입을 금한다는 팻말이 보이고, 다시 한동안 올라서면 이제 능선 길이 조금 평탄해지고 잠시후 벌목지 위에 닿는다. 앞쪽으로 마을이 보이고, 쌍교봉, 지장산으로 이어지는 능선도 보이며 좌측으로 올라서야 할 고산이 높이 서 있다. 벌목지를 따라 잠시 더 이동을 하면 첫 번째 봉인 해발 약547봉이다. 여기서 50여분간을 보낸후 다시 산행을 이어간다.
산불감시탑(우 블로치터널로 이어짐, 2.35km, 약805m) 09:43
547봉에서 능선을 따라 진행을 한다. 여기는 길이 그런대로 나 있다. 안부를 지나고 잠시후 우측 능선에서 올라 온 옛 임도로 보이는 길과 합류를 하여 진행하면 낮은 봉을 넘어 잠시후 안부 사거리에 닿는다. 좌측은 고산골로 길이 잘 나 있고, 우측으로 자사마을 방향으로도 길이 잘 나 있다. 오래 전에는 이 고개로 두 동네분들이 넘어다녔을 것 같다. 여기부터 급경사 오르막 길이 시작된다. 대단한 오르막 길이다. 한발 올려 놓으면 반 발자욱은 미끄러진다. 짐승들이 다닌 길도 보이지 않는 능선을 따라 나무를 부여잡고 오르기도 하고 옆으로 돌아서 오르기도 하며 진행을 한다. 다행인 것은 커다란 바위등으로 앞을 막지는 않는다. 육산 능선을 따라 급경사로 오르기가 힘든 곳이다. 30여 분을 급경사지대를 따라 올라섰는대 거리는 400m 밖에 안 된다. 해발 약700m 지대로 바위들이 있는 곳이다. 우측으로 조망이 트여 산 아래 자사마을을 비롯하여 안천까지 시야에 들어오며 뒤편으로 지장산, 조항산등 무주 일대의 산들이 보인다. 이후 진행을 하면 바위지대도 지나고 해발 약780봉을 지나 5분여 더 가면 산불감시탑이 있는 해발 약805봉에 닿는다. 이봉에서 우측으로 블로치고개를 넘어 용담호로 빠지는 능선을 덕유지맥이라 한분도 있다. 각자의 생각이니 누가 맞고 틀리지는 않는다. 정확한 답이 없는 길이 산길이니 말이다.
고산 정상(2.87km, 875.8m) 10:06 ~10:18
산불감시탑에서 잡목을 헤치고 잠시 내려서면 바위지대에 로프가 걸려 있다. 집고 다니던 지팡이 아래로 던져 놓고 로프를 잡고 내려선 후 지팡이를 찾으니 아 이넘이 없다. 몇 해를 나와 함께 한 정든 지팡인대 아무리 찾아도 없다. 낙엽속에 숨은 것인지 미끄러져 아래로 쭈욱 내려선 것인지 못 찾았다. 이제 다시 오르기 시작한다. 첫 머리 바위를 잡고 올라서서 서서히 오르기 시작하면 좌측으로 811봉이 보이고 어디서 올라왔는지 능선으로 길이 선명해 지며 서서히 올라서서 고산정상에 도착을 한다. 고산정상에는 삼각점과 안내문, 이정표에 깃대봉(고산)이라 적힌 정상표지판이 붙어 있고, 좌측으로 죽도고개에서 올라온 길이 합류를 한다. 죽도 5.0km, 대구평 6.2km, 외송 6.1km가 적혀 있다. 여기서 잠시 쉬면서 간식을 들고 간다.
감투봉(4.43km, 약838m) 11:00 ~11:02
고산정상에서 직진방향으로 진행을 한다. 대구평 방향을 보고 가면 된다. 잠시 가면 헬기장이 나온다. 고사리 몇 개비 꺽고 진행을 한다. 이후 서서히 내려서는 길을 따르면 2분후 우측으로 고산골로 내려서는 첫 번째 갈림길이다. 깃대봉 0.7km, 고산골 1.2km, 외송 5.4km, 대구평 4.5km가 적혀 있다. 여기서 능선길을 따라 진행하면 한동한 신갈나무 우거진 숲길을 따라 진행한다. 걷기에 매우 좋은 길이다. 이렇게 진행을 하면 바위지대에 로프가 매여진 곳으로 내려서서 다시 능선에 닿은후 진행을 한다. 3분여 가면 고산골로 내려서는 두 번째 지점이다. 깃대봉 1.7km, 고산골 2.3km, 외송 4.4km, 대구평 3.5km가 적혀 있다. 이후 진행을 하면 오르막길을 올라서서 감투봉에 올라선다. 해발 약838m로 감투봉이라 적힌 정상표지판이 걸려 있다.
쉰질바위 끝 바위지대(5.55km, 약730m) 11:44
감투봉에서 진행을 하면 좌측 능선으로 서서히 내려서기 시작한다. 바위지대를 내려서고 잠시 가면 이정표 삼거리에 닿는다. 좌측은 외송으로 가는 길로 3.9km, 우측은 대구평으로 가는 길로 4.0km, 고산 2.2km가 적혀 있다. 여기서 우측으로 감투봉 사면길을 따라 진행을 하면 너덜지대를 지나 우측 능선에 붙는다. 이후 능선 길을 따라 진행하면 6분후 조망이 좋은 바위지대에 닿는다. 앞쪽으로 툭 튀어 나온 바위봉이 보인다. 쉰질바위 혹은 대덕바위라 부르는 것 같다. 좌측으로 두 귀가 쫑끗이 솟은 마이산이 보인다. 앞쪽으로 용담호가 보이며 뒤편으로 구봉산의 여러봉들이 줄지어 서 있는 모습이 보이고 뒤편으로 높다란 봉이 북두봉, 운장산으로 이어지는 산군이다. 조망지대를 지나서 진행을 하면 능선에서 여러차례 마이산이 조망되며 툭 튀어 나온 쉰질바위 앞에서 산길은 우측을 우회 길이 있다. 혹여 바위를 타고 넘을 수 있으면 우회 길이 없을긴대 바위를 타고 넘을 자신이 없어 우회 길을 따라 진행하면 중간 쯤에서 고산골로 내려서는 세 번째 지점의 이정표에 닿는다. 고산골 1.0km, 대구평 3.0km, 고산정상 3.2km가 적혀 있다. 이후 우회 길을 따라 진행하면 위쪽으로 살짝 올라서서 쉰질바위 끝 지점에 닿는다. 여기 바위 틈새로 용담호가 멋지게 조망이 되면 멀리 높다랗게 보이는 산은 금산의 진악산과 서대산으로 보인다.
대덕산(6.95km, 약592m) 12:18
쉰질바위 끝에서 배낭을 벗어 놓고 잠시 쉰질바위 쪽으로 가본다. 뾰족이 솟아 있는 쉰질바위 정상 앞에서 걸음을 멈춘다. 오르기는 하겠지만 내려서기 쉽지 않을 것 같다. 또 뒤편 쉰질바위 정상으로 오르는 것도 만만치 않겠다. 다시 돌아와 배낭을 메고 쉰질 바위 끝 지점 우회 길을 따라 진행하여 능선에 닿은 후 진행을 하면 신갈나무 우거진 숲길을 따라 걸어서 뾰족이 솟아 있는 바위가 있는 봉을 지난다. 이후로도 신갈나무 숲길을 따라 걷기 좋은 길을 따르면 가파르게 내려서는 지점에 닿는다. 이후 안부에 닿은 후 다시 오르게 되면 해발 약 610봉에 닿고 여기서 살며시 내려서서 진행을 하면 이후로 바위지대를 따라 진행을 하여 오늘의 마지막 산인 대덕산에 닿는다. 여기도 신갈나무 기둥에 대덕산 표지판이 붙어 있으며 이정표가 있다. 여기서 대구평은 좌측으로 빠지고 고산골은 우측으로 빠진다. 교통 편의상 우측으로 빠지는 것이 좋다. 대구평 1.0km, 고산골 0.7km, 감투봉 3.0km가 적혀 있다. 조망은 좋지 않다.
등산로 끝 임도길(좌측에 보이는 임도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2km 나가면 구룡교차로, 7.80km, 약275m) 12:45
대덕산에서 우측으로 내러서기 시작한다. 첫 머리는 길이 좋은 편이다. 서서히 내려서고 길이 우측 사면으로 내려서기 시작하며 길이 급경사로 내려서기 시작한다. 낙엽에 미끄러지며 내려서면 첫 번째 로프가 매여진 지점을 지나고 다시 내려서서 두 번째 로프가 매여진 지점을 지나면 산길은 계곡 사이로 접어 든다. 계곡길 내려서기가 만만치 않다 잡석지대를 따라 내려서면 발 딛기가 아주 나쁘다. 경사도 가파르고 거리가 좁혀지지를 않는다. 로프가 매여진 지점을 지나고 다시 한동안 내려서서 두 번째 로프가 매여진 지점을 내려서서 한동안 내려서면 산길은 좌측 산허리 방향을 따라서 잠시 더 내려서면 임도 길에 닿는다. 쉼질바위 2km, 감투봉 3km 임도를 따라 대덕산 0.5km가 적혀 있는 이정표가 있으며 대구평에서 자사마을 방향으로 이어지는 임도길 안내도가 있다. 임도가 자사마을까지 연결이 안되었으니 끝에서 내려서는 길을 잘 찾아서 내려서야 할 것 같다. 오늘 내가 정한 길은 임도를 넘어 자사마을 지나 싸리재로 가는 것이다. 여기서 앞쪽에 보이는 임도 삼거리에서 좌측은 대구평으로 가는 길이고, 우측은 진안에서 안천으로 가는 도로의 구룡교차로 방향으로 가는 길이다. 구룡교차로 까지 2km거리로 25분 정도면 될 것 같다. 진안에서 12시 55분 출발해서 안천을 거쳐 동향으로 가는 버스가 13시 10분경 구룡교차로 정거장에 닿을 것으로 보인다. 지금 걸어 나가면 버스시간은 딱 맞겠다.
비포장 임고 고갯마루(10.68km, 약525m) 13:54
이제 임도길을 따라 자사마을로 넘을 것이다. 임도를 따라 우측으로 진행을 한다. 4분여 올라서니 좌측으로 대덕사라는 작은 사찰이 보인다. 출입을 금한다고 적혀 있다. 대덕사 앞을 지나 오르다가 우측으로 맑은 물이 흐르는 자사골 개울로 들어가 점심식사를 한다. 모처럼 세수도 하고 손도 씻고 점심식사를 한다. 식사후 다시 임도를 따라 진행을 하면 10여분후 대덕바위로 오르는 등산로 입구에 닿는다. 대덕바위 0.6km, 대덕사 1.2km, 세동주차장 3km가 적혀있다. 다시 10분이 지나면 비포장임도를 걸어 국가지점번호가 있는 곳에 이르면 다시 세멘트 포장길로 잠시후 계류를 건너고 다시 비포장임도를 걸어 진행한후 세멘트포장길을 따라 임도가 좌측으로 급격히 꺽이는 부분 우측으로 고산등산로 입구에 닿는다. 고산에서 잠시 내려오다. 우측으로 첫 번째 고산골 갈림길 이정표가 있는 지점으로 닿는 길이다. 여기서 잠시 비포장 임도를 지나고 다시 세멘트포장임도를 올라서면 고갯마루에 닿는다. 고갯마루는 비포장 임도 길이다. 임도길 좌, 우 능선으로 길 흔적이 보인다.
싸리재(14.89km, 약390m) 15:00 ~15:05
비포장 임도 고갯마루에서 세멘트 포장 임도길을 따라 내려선다. 8분여 내려서면 임도길 끝지점으로 쇠사슬이 쳐져 있으며 임도 길이 끊긴다고 통행금지 표지판이 서 있다. 이후로 임도 길은 잠시 더 가다가 끈긴다. 여기서 잠시 되돌아 올라와 자사마을 방향으로 잡목을 뚫고 능선으로 내려서면 능선으로 예전에 다니던 길 흔적이 나온다. 현재는 다니지 않아 솔가루가 수북이 쌓이고 미끄럽지만 길은 확실하다. 능선 길을 따라 10여분 내려서면 널찍한 묵밭에 닿는다. 묵밭을 가로 질러 우측으로 가면 풀길이지만 내려서는대는 지장은 없다. 잠시 내려서면 산소 쓴지 얼마 되지 않은 듯 아직 잔디가 자라지 않은 산소 3기가 있는 지점으로 내려서서 마을길 삼거리에 닿는다. 마을길을 따라 조금 내려서면 삼거리다. 여기서 우측으로 아스팔트길을 따라 진행하면 자사마을 버스정류장에 닿는다. 이후로도 아스팔트 길을 따라 나가면 큰 도로와 만나는 삼거리의 밖아담 버스정류장에 닿는다. 여기에 버스시간표가 있으니 참조하면 된다. 여기서 큰길을 따라 진행하면 서서히 오르는 길을 따라 진행한다. 우측으로 높다랗게 서 있는 고산을 바라보며 진행을 한다. 고갯마루로 오르면서 동향에서 안천으로 가는 버스와 마주친다. 이후 진행을 하면 싸리재 절개지를 지나서 구도로로 들어가는 입구에 세워둔 내차가 있는 싸리재 입구에 도착을 하여 산행을 마감한다.
오늘 내가 생각한대로 무사히 산행을 마쳤다. 임도길은 3.4km로 거리는 짧지않치만 걷기에 좋았고 다행히 자사마을로 내려서는 능선길을 잘 찾아 쉽게 내려섰다.
돌아오는 길
싸리재에서 15시 05분 출발하여 삼유리에서 도류마을로 들어가 임도를 따라 고갯마루까지 올라가 저번에 고사리 꺽던 곳으로 올라가 고사리 대략 한관 정도 꺽어서 오느라 1시간 40분이 걸렸다. 이제 고사리도 끝인 것 같다.
이렇게하여 오늘 일정을 모두 마치고 집으로 향한다. 임도를 내려서서 도류마을 지나고 삼유리에서 큰도로로 올라서서 조금재 터널을 빠져나와 적상을 지나고 무주톨게이트로 진입하여 달리면 1시간 정도 달려서 서청주 톨게이트로 나온다. 도로비 5100원이 나온다. 이후 막히는 도로를 따라 집에 도착하니 18시 50분이다. 무사히 산행을 마치고 손에 가시 박힌 것 빼내고 물올려 오늘 채취한 고사리 삶아 놓고 하루일과를 마감한다.
산행시간 : 7시간 32분(나물채취 1시간 가량 소요됨)
산행거리 : 14.89km
연료비 : 약 3만원
도로비 : 왕복 10200원
~~~~~~~~~~~~~~~~~~~~~~~~~~~~~~~~~~~~~~~~~~~~~~~~~~~~~~~~~~~~~~~~~~~~~~~~~~~~
무주 덕유지맥 2-2구간 싸리재~고산~감투봉~대덕산
청주 ~전북 진안군 동향면 자산리 산 91-1(중노버스정류장) : 116.2km, 1시간 40분 통행료 5400원
청주 ~대전 : 약 60분 4400원 6:20, 48, 55, 7:14,21,41등 막차 22시
대전~무주 : 7:20(구천동), 8:00, 9:00, 9:40등 50분 소요 5000원.
무주 ~안성행 직행(안성, 장계, 진안, 전주행) : 08:15(2800원) (농어촌버스 30분)
무주~안성 : 9:00(동향), 9:50(장계),10:50(명천),11:40(두문),12:40(장계),13:20(동향),14:30(장계),16:30(장계)
안성~무주: 7:20,8:00,8:50,9:30~15:00,16:30,17:00,18:00, 18:50
안성~대전직행: 14:10, 14:40무주), 16:15(7800원)
안성~동향 : 7:20, 8:00, 9:30, 10:40, 12:05, 14:00, 15:30(행복), 18:40, 19:10
****무주 8:10-가당 –부남 8:45 –장안리 –율현 –안천 9:20 –금지 –진안 (안천에서 터널지나 세동정류장 하차)
(무주터미널 –공정 –용포 –외요대 –가정-(상평당) –하평당 –유동-부남면 -(도소) -유평 –식암 –장안리 -(율현) -상리 –안천정류소 –괴정(싸리재, 동향 넘어가는 삼거리) –신여 –금지 –언건 –진안의료원 –진안터미널)
안천정류소 –세동 구룡교차로 : 3.9km, 대덕사입구 삼거리 : 9km 택시비 9000원
싸리재 ~신괴교차로(좌측으로 괴정정류장) : 약3km, 싸리재 ~안천정류장 : 5.1km
진안 12:55 –안천13:15 –중노 –동향13:40 -안성
진안 15:00 –안천15:25 –동향 15:50분경. 진안17:00 –안천17:30 –동향 17:55~18:10 –안성 18:30분경
안성 14:00 –안천 14:50 –진안 15:20분경, 동향 16:40 ~안천 17:00~17:20 –진안 17:50분경
진안 16:00 –내송 –동향착, 동향 16:40~학선 –안성 착 동향발 15:40 ~진안행
안성~진안행 : 안성14:00-동향 14:30 –안천 14:50 –진안 15:20경착
동향발 16:40 –안천 17:00-도라곡 –안전 17:20 –진안 17:50경
안천 –진안: 14:50, 17:20, 18:10, 안천 –동향 15:25, 17:30(안성), 안천-무주 : 14:40, 17:00
진안~전주 : 15:20, 15:40, 16:15, 16:35, 17:20, 18:00. 18:30, 18:50, 19:10
전주 ~청주 : 15:50(우), 16:20,16:55, 17:30, 18:00, 19:10 14800원
무주 ~대전 직행 : 7:00,40, 8:35, 9:00,50, 10:30,11:30,12:00,13:25,14:35,15:30,16:10,16:40,17:45,19:30
무주 ~영동 : 17:25, 18:25, 19:30등 25분 소요
영동역 ~조치원역 : 17:41~18:31(7900원 새),19:11~20:13(5300원), 19:27~20:43(5300원),20:11(새), 20:4
대전 ~청주 : 17:38,17:46,55, 18:05,15,35.45.50.55.19:24,36.42.54.20:00,12.30.42.54.21:06.20,35.50.22:00
동향~싸리재 : 3.7 km(동향행정복지센타/좌 –제일방앗간/좌 –다리건너고 –동향우체국 –동향교회 앞삼거리(좌) -삼거리/우 –동향민박 –큰도로 –싸리재 앞에서 좌측 구도로로 진입 -싸리재) 45분 소요
싸리재 14:59 –547봉 14:25 ~32 –안부 15:40 –급오름끝/바위지대 16:14 –면경계봉/암봉 16:31 –고산 16:53
고산(875.4m).감투봉(838m).대덕산(592m)/전북 진안
산행일자;2021년12월11일(토). 날씨;맑음. 산행거리;11.4km. 산행시간;4시간50분.
산행코스 : 죽도고개→600→710→811→고산(깃대봉875.4m)→헬기장→감투봉(838m)→쉰질바위<우회>→대덕산(592m)→ 우측능선→우측계곡 너덜길→대덕사입구→ 임도→세동마을(구룡교차로 공터)
'산행기(2000년 부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45 삼척 도계 육백산1244m~응봉산1267m, 미인폭포 2022.05.24.화요일 맑은후 소나기 (0) | 2023.02.22 |
---|---|
1344 고성 성인대~상봉~신선봉 2022.05.21.목요일 맑음 (2) | 2023.02.22 |
1342 무주 덕유지맥2-1 싸리재~국사봉~봉화산~어각재 2022.05.15.일요일 맑음 (0) | 2023.02.21 |
1341 무주 덕유지맥1-2 안성치–어둔산-봉화산-버드산-조금재임도 2022.05.12.목요일 맑음 (0) | 2023.02.21 |
1340 순천 조계산 장군봉~연산봉, 고동산 2022.05.10.화요일 맑음 (1) | 2023.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