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18 무주 갈미봉~대봉~흥덕산~투구봉 갈미봉 1211m, 대봉 1263m, 흥덕산 1283.1m, 투구봉(지봉) 1276.3m2023.05.01. 월요일 맑음
무주 갈미봉~대봉~흥덕산~투구봉
갈미봉 1211m, 대봉 1263m, 흥덕산 1283.1m, 투구봉(지봉) 1276.3m
2023.05.01. 월요일 맑음
참석인원 : 나홀로
청주 집 05:17 –서청주 톨게이트 05:28 –무주 톨게이트(통행료 5100원) 06:18 –무주 상오정마을 입구(무주군 무풍면 삼거리 252-4, 해발 660m) 06:47 ~06:54 –문리버 입구(1.08km, 약715m) 07:07 –세멘트 포장길 -구천동 송어마을앞 삼거리(우측으로, 1.48km, 약725m) 07:13 – 사과밭 (2.26km, 약760m) 07:23 –사과밭 앞 교량 및 차단기(2.74km, 약805m) 07:32 –비포장 임도(3.04km, 약820m) 07:36 – 세멘트포장임도(3.19km, 약830m) 07:38 –잠시후 비포장임도 – 잠시후 세멘트 포장임도 – 비포장 임도(3.94km, 약905m) 07:57 –좌 꺽임지역 교량(4.25km, 약925m) 08:02 –임도에서 능선으로(4.86km, 약955m) 08:13 –백두대간길 능선 안부(4.93km, 975m) 08:15 – 좌측 신풍령방향으로 진행 –신풍령쉼터(5.18km, 약1010m) 08:20 – 되돌아서 –능선 안부(5.41km, 약975m) 08:25 –덕유 7-4지점(5.74km, 약1025m) 08:35 –로프, 통나무게단 급경사 오르막 –소나무(국립공원 표지석, 5.89km, 약1065m) 08:39 –잠시 평탄하다 –급경사 오르막길 – 덕유 7-5지점(6.35km, 약1172m) 08:53 –우꺽임 -갈미봉(정상석, 6.46km, 약1211m) 08:58 – 바위봉(6.62km, 약1010m) 09:23 –내리막길 –안부(6.77km, 약965m) 09:06 –덕유 7-6지점(6.86km, 약1145m) 09:08 – 오르막길 – 덕유 7-7지점(7.38km, 약1210m) 09:22 –대봉(이정표, 7.51km, 약1263m) 09:25 ~09:28 –우측능선으로 –해발 약1275봉(8.11km) 09:42 –페헬기장(8.24km, 약1270m) 09:45 – 조릿대밭 앞 안부(8.83km, 약1225m) 09:57 – 흥덕산(우꺽임, 9.04km, 약1283.1m) 10:05 –투구봉(지봉, 삼각점, 7.79km, 1276.3m) 10:25 ~10:30 – 우측 능선으로 –Y능선 갈림봉(우측으로, 10.90km, 약1260m) 10:59 –Y능선갈림(우측으로, 11.70km, 약950m) 11:19 –약940봉(12.0km) 11:25 –삼각점봉(12.20km, 약948.7m) 11:30 –우측 능선으로 –묵묘(12.50km, 약865m) 11:37 - 한동안 내려서면 길 없어짐 –능선 우측으로 산소(13.11km, 약715m) 11:560 –잠시 내려서면 세멘트길 – 다리 건너고 –우측으로 소로길 - 무주 상오정마을 입구(13.40km) 11:56 ~12:00 -----차량이동 ----적상면 조금재 터널 임도 12:45 ~13:45 ------차량이동 ----적상면 삼유리 도촌마을 임도 14:30 ~16:30 – 무주 톨게이트 16:58 –죽암휴게소(연료 4만원) 17:57 ~18:03 –서청주 톨게이트(통행료 5100원) 18:15 – 청주 집 18:30
~~~~~~~~~~~~~~~~~~~~~~~~~~~~~~~~~~~~~~~~~~~~~~~~~~~~~~~~~~~~~~~~~~~~~~~~~~~~~~~~~~~~~~~~~~
덕유산\
덕유산 일대는 웅장한 산세와 계곡, 그리고 울창한 식생이 어울려 뛰어난 자연경관을 이루고 있고, 산성·사찰 등 문화 유적이 많아 1975년 2월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공원 면적은 총 219㎢인데, 그 중 71㎢가 자연보호지역, 131㎢가 자연환경지역이다. 나머지 17㎢는 농촌지역·시설지역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덕유산국립공원을 대표하는 경승지는 무주구천동이다. 길이 28㎞에 이르는 구간에는 기암괴석·암반이나 급류·폭포·급연(急淵)·벽담(碧潭) 및 울창한 수림이 조화된 33경(景)이 있다.
제1경인 나제통문(羅濟通門)을 비롯하여, 은구암(隱龜巖)·청금대(聽琴臺)·와룡담(臥龍潭)·학소대(鶴巢臺)·일사대(一士臺)·함벽소(涵碧沼)·가의암(可意岩)·추월담(秋月潭)·만조탄(晩釣灘)·파회(巴洄)·수심대(水心臺)·세심대(洗心臺)·수경대(水鏡臺)·월하탄(月下灘)·인월담(印月潭)·사자담(獅子潭)·청류동(淸流洞)·비파담(琵琶潭)·다연대(茶煙臺)·구월담(九月潭)·금포탄(琴浦灘)·호탄암(虎灘巖)·청류계(淸流溪)·안심대(安心臺)·신양담(新陽潭)·명경담(明鏡潭)·연화폭(蓮華瀑)·이속대(離俗臺)·백련사(白蓮寺)·구천폭(九千瀑)·백련담(白蓮潭)의 32경이 있고, 마지막 33경은 덕유산정을 호칭한다.
나제통문은 무주군 설천면 소천리와 장덕리 사이의 암벽을 뚫은 인공동문(人工洞門)으로 구천동 입구에 있다. 이곳은 삼국시대에 백제와 신라의 국경이었는데, 이 통문이 뚫리게 된 경위나 시기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나제통문은 고려시대에 무풍현(茂豊縣)과 주계군(朱溪郡)의 경계였으나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양왕 때 무풍현이 주계군에 병합되었고, 조선 태종 때 무주군으로 개칭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 때문에 높이 3m, 길이 10m의 나제통문을 경계로 양 지역 간 언어와 풍습의 차이는 지금도 남아 있다.
백련사는 북덕유산 동쪽에 있는 사찰로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었다. 그러나 임진왜란과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소실되었고, 현재의 사찰은 전쟁 후에 새로 지은 것이다.
한편 덕유산 주변에는 적상산성·안국사·호국사·연각사·송계사 등의 사적 및 사찰과 칠봉약수골·칠연폭포·용추폭포 등의 경승지가 있다.
적상산성에는 1374년(공민왕 23) 최영(崔瑩) 장군이 제주도 토벌에서 돌아오는 길에 이곳이 천혜의 요새임을 간파하고, 산성을 쌓게 하였다는 전설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사면이 절벽으로 둘러싸여 있는 적상산 산정부의 분지는 성 내부에 해당된다.
이곳에는 본래 사책(史冊)과 보첩(寶帖)을 보관해 둔 사고(史庫)와 선원각(璿源閣) 외에 호국사(護國寺) 등의 사찰이 있었으나 현재는 약 3㎞의 성지(城址)와 약간의 석축(石築), 그리고 높이 1∼3m의 북문지(北門址)·서문지(西門址)·사고지(史庫址) 등이 남아 있을 뿐이다.
안국사는 적상산성 안에 있는 사찰로 고려시대에 창건되었고, 1613년(광해군 5)과 1864년(고종 1) 등 두 번에 걸쳐 중수되었다. 안국사 극락전은 지방문화재로 지정되어 있고, 안국사에는 적상산사고(赤裳山史庫)의 현판이 남아 있다.
덕유산이 1975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후, 북동쪽의 칠봉 산록에는 대규모의 국제 야영대회를 치를 수 있는 청소년 야영장과 자연학습장인 덕유대(德裕臺), 산의 능선을 이용한 스키장 등이 설치되었다.
흥덕산,투구봉
백두대간 덕유산 백암봉에서 신풍령(빼재)방향으로 거의 신풍령방향으로 가까운 대봉에서 북쪽으로 갈라진 능선길에 있는 산들이다. 삼공리에서 계곡으로 따라 백련사로 진행을 하면 우측은 칠봉 능선이고, 좌측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투구봉, 흥덕산을 거쳐 대봉까지 이어지는 능선이다. 산행은 대봉에서 흥덕산을 거쳐 투구봉까지 이른후 좌측은 삼공리로 이어지는 능선이고, 우측은 상오정마을로 빠지는 능선이다. 백두대간 줄기의 1000m급 능선을 즐길 수 있는 호젓한 산길이지만 독도에 자신이 없으면 가지 않는 것이 좋다.
~~~~~~~~~~~~~~~~~~~~~~~~~~~~~~~~~~~~~~~~~~~~~~~~~~~~~~~~~~~~~~~~~~~~~~~~~~~~~~~~~~~~~~~~~~
청주 집 05:17
이번 산행지는 백두대간 신풍령(빼재)에서 시작하여 덕유산 백암봉 방향으로 진행하면 갈미봉을 지나 대봉에서 우측으로 뻗어서 덕유산 입구인 삼공리 까지 이어지는 능선 상에 있는 흥덕산과 투구봉을 가기로 한다. 산행 출발지인 신풍령 입구까지는 무주터미널에서 08시 10분 출발하는 버스가 가기는 해도 도로를 따라 신풍령까지 가는 거리가 2.2km가 나오고 무풍면 입구에서는 5km 정도가 나오므로 산행 출발지를 상오정마을에서 시작해서 끝나는 일정으로 산행코스를 잡았다. 도로를 따라 문리버 간판이 있는 곳으로 임도가 이어져 임도를 따라 능선과 가장 거리가 가까운 곳에서 진입을 하려 한다. 오늘 승용차로 출발하기로 하여 집에서 05시 17분 출발을 한다.
무주 상오정마을 입구(무주군 무풍면 삼거리 252-4, 해발 660m) 06:47 ~06:54
집을 출발하여 한가한 도로를 따라 10분후 서청주 톨게이트로 진입을 한다. 오늘은 차량이 한가해서 보니 노동절이라 트럭등 대형차량이 다니지를 않아서 한가했다. 대전을 지나고 통영방향 중부고속도로를 따라 달려 대략 1시간후 무주톨게이트를 빠져나와 좌측으로 진행을 하면 적상면을 지나 안성치를 넘기 전 좌측으로 무주리조트로 빠지는 길이 나온다. 이 길을 따라 진행하여 적상산이 좌측으로 있는 치목재터널을 지나고 하조사거리를 지나면 지그재그로 오르는 오르막길이다. 오르막길을 올라 설천봉에서 성지산 백운산 방향으로 이어지는 능선 아래 구천동 터널을 지나면 잠시후 우측으로 돌아서 무주리조트 앞 삼거리에 닿는다. 이후 좁다란 길을 따라 삼공리 앞 삼거리에서 직진방향으로 진행을 하면 몇 분후 상오정마을 앞 도로에 닿는다. 우측으로 오정산장으로 가는 다리가 보이는 곳으로 길옆으로 길다랗게 주차공간이 있다.
사과밭 앞 교량 및 차단기(2.74km, 약805m) 07:32
무주 상오정마을 입구에서 주차후 산행준비를 마친후 도로를 따라 신풍령 방향으로 진행을 한다. 도로를 따라 진행하면 좌측으로 토비스콘도라고 커다란 건물이 있는대 현재는 영업을 중단 한듯하다. 정문도 막혀 있고 인적이 없다. 이 앞쪽과 옆쪽으로도 주차공간은 많다. 이렇게 하여 13분가량을 진행하면 ‘문리버’라 적힌 간판이 나오며 우측으로 들어가는 세멘트포장 길이 시작된다. 도로 우측으로 문리버 펜션이 있고 세멘포장길 숲길을 따라 들어가면 우측으로 참나물이 지천으로 깔려 있는대 크기가 작다. 이렇게 들어가면 앞쪽으로 삼거리가 나온다. 좌측은 ‘송어마을’, ‘네버랜드펜션’으로 들어가는 길이고 우측으로 난 길을 따라 들어가면 개울을 건너고 세멘포장이 된 우거진 숲길을 따라 걷는다. 국립공원표지석이 가면서 이어진다. 이렇게 들어가면 첫 번째 사과밭이 나온다. 과수나무를 손질하는 일손들이 일찍도 나와서 일을 하고 있다. 이후 임도를 따라 진행하면 10여분후 두 번째 사과밭이 우측으로 있으며 여기서 임도는 좌측으로 급하게 꺽이며 다리가 설치되어 있고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어 차량은 출입을 금하고 있다.
백두대간길 능선 안부(4.93km, 975m) 08:15
사과밭 앞 차단기를 지나서 임도를 딸 진행하면 4분후 비포장 임도가 나온다. 2분후 세멘트포장임도가 짤막하게 이어지고 다시 짧막하게 비포장 임도가 진행되다가 세멘포장길을 따라 한동안 진행을 한다. 이후 비포장 임도를 따라 진행하면 점점 더 고도가 높아 지면서 쭉쭉뻗은 나무들과 습지식물, 잎이 널찍한 박새가 지천이다. 우측으로 급하게 꺽이는 임도를 따라 오르고 다시 좌측으로 돌아서 올라서면 우측 위쪽으로 능선이 가까이 보인다. 반듯하게 진행하는 임도를 따라 잠시 진행하면 우측으로 표지기 하나가 붙어 있는 곳으로 올라선 흔적이 나온다. 이곳으로 올라서면 거의 평평하게 오르기 때문에 능선까지는 2~3분이면 닿는다. 고도 약 20m 정도로 임도에서 쉽게 백두대간 길 능선안부에 닿는다.
갈미봉(정상석, 6.46km, 약1211m) 08:58
백두대간길에 닿은 후 좌측으로 진행해 본다. 서서히 오르는 길을 따라 오르면 해발 약1010봉 아래 신풍령 쉼터라고 하는 곳에 닿는다. 임도는 이곳 아래 지점까지 연결이 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사각데크에 의자가 양쪽으로 2개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으로는 금줄이 쳐져 있다. 덕유 7-3지점으로 해발 995m가 적혀 있다. 우측으로 빠지면 신풍령 아래 삼포마을로 이어지겠다. 이제 이곳에서 되돌아서 진행을 한다. 잠시 내려서서 금시 임도에서 올라와 만난 능선 안부에 닿고 이제 서서히 오른다. 임도 길로 오면서 붉게 핀 철쭉꽃이 이곳에는 더욱 많고 연분홍 철쭉이 보기 좋다. 점점 고도를 높이며 오르면 덕유 7-4지점을 지나고 로프가 쳐져 있는 통나무계단을 따라 올라서 소나무 한그루가 서 있는 평탄한 지형에 닿는다. 국립공원 표지석이 있다. 잠시 평탄한 길을 따라 진행한 후 이후 급경사 가파른 길을 따라 오르게 된다. 요즘 백두대간 하시는 분들도 없는지 다닌 흔적이 전혀 없다. 이렇게 오르면 덕유 7-5지점에 닿는다. 해발 1172m가 적혀 있다. 이곳에서 다시 5분가량을 더 오르면 갈미봉 정상석이 있는 지점에 닿는다. 좌측으로는 칠목재를 거쳐 시루봉, 호음산을 거쳐 수승대 관광지로 하산을 할수 있는 곳이다. 갈미봉 이정표에 신풍령 2.6km, 송계 삼거리 8.4km, 횡경재 삼거리 5.2km가 적혀 있다.
대봉(이정표, 7.51km, 약1263m) 09:25 ~09:28
갈미봉에서 우측으로 방향이 꺽여서 진행이 된다. 잠시후 해발 약1010봉인 바위봉에 닿고 여기서 좌측 사면을 따라 내려서서 안부에 닿는다. 이후 서서히 오르는 능선을 따라 진행하면 eurdb 7-6지점으로 해발 약1145m가 적혀 있다. 이후로도 계속 오르막길이 이어지고 덕유 7-7지점에 닿는다. 해발 1210m가 적혀 있다. 여기에서 3분을 더 진행하면 대봉에 닿는다. 정상석은 없으며 이정표가 서 있다. 이정표에 신풍령 3.6km, 송계 삼거리 7.4km, 횡경재 삼거리 4.2km가 적혀 있다. 앞쪽으로 못봉, 귀봉, 백암봉, 덕유산 정상으로 이어지는 멋진 능선이 조망이 된다. 또한 백암봉에서 남덕유, 남덕유에서 금원산으로 이어지는 능선과 그 안쪽으로 마을과 푸르러 가는 산하가 아름다움을 선사 한다. 여기서 내려서면 안부에서 우측으로 하산을 하면 신선대 휴게소에 닿고, 좀 더 진행하여 못봉을 넘어서 하산을 하면 오수자굴에서 백련사로 이어지는 등산로에 연결이 된다.
흥덕산(우꺽임, 9.04km, 약1283.1m) 10:05
대봉에서 줄이 쳐저 있는 곳으로 넘어서 능선을 따라 진행한다. 능선으로 미역줄이 깔려 있어 한여름에는 진행하기 어렵겠다. 지금은 미역줄이 말라버린 상태라 옆으로 피해서 지나면 어렵지 않게 지날 수 있다. 이렇게 진행하면 굵직한 철쭉나무가 아직 꽃을 피우지 않았고 좌측으로 가끔씩 덕유산정상과 설천봉방향으로 스키장의 모습이 보인다. 이렇게 15분가량을 진행하면 해발 약1275봉에 닿는다. 작목으로 우거진 봉으로 표지기 몇 개가 붙어 있다. 여기서 좌측으로 방향이 살짝 꺽여서 진행을 한다. 3분여 진행하면 폐헬기장이 나온다. 잡목사이를 빠져나가면 이제 거의 평탄하게 이어지는 능선길을 따라 진행하면 이곳으로도 미역줄이 능선으로 보이고 푸르른 조릿대가 앞으로 가로막는 안부에 닿는다. 여기서 옆으로 피해 갈 방법은 없는 것 같다. 조릿대 밭을 관통해서 지난다. 이후 능선길을 따라 조금 가파르게 오르면 흥덕산 정상에 닿는다. 이렇다 할 표시물은 없으며 표지기 몇 개만 붙어 있는 산으로 조금은 초라해 보이는 산이다. 다음지도나 네이버지도에는 분명 흥덕산으로 표기된 봉이다.
투구봉(지봉, 삼각점, 7.79km, 1276.3m) 10:25 ~10:30
흥덕산에서 우측으로 방향이 꺽이며 내려서는 길이다. 잠시 내려서면 능선으로 미역줄 때문에 좌측 사면으로 진행하여 능선으로 붙인다. 이후 능선을 따라 진행하면 우측으로 조망이 트이는 곳에서 신풍령을 지나서 있는 삼봉산과 그 아래쪽으로 임도와 농토가 보이고 그 옆으로 초점산, 대덕산이 조망이 된다. 이렇게 진행을 하다보면 서서히 오르는 길 끝으로 미역줄과 잡목으로 뒤범벅이 된 곳이 나온다. 이곳을 뚫고 오르면 투구봉 정상이다. 삼각점이 있으며 삼각점 안내문이 있다. 지봉이라고 표기되기도 한 곳으로 여기서 좌측으로는 삼공리로 향하고 조금 가까이 원점회귀산행을 하기 위해서 우측 능선으로 진행을 해야 한다. 주변으로 커다란 나무는 베어내서 앞쪽으로 덕유산 향적봉과 설천봉, 스키장의 모습이 가까이 보인다. 여기서 잠깐 쉬면서 커피한잔과 간식을 들고 간다.
삼각점봉(12.20km, 약948.7m) 11:30
투구봉에서 우측 능선으로 진입을하여 서서히 내려서기 시작한다. 바윗길이 나오기도 하고 짧막한 조릿대 길이 반복적으로 나오기도 한다. 이렇게 진행을하면 능선이 양쪽으로 갈리는 해발 약1260갈림봉에 닿는다. 등고선을 보니 우측으로 진행해야 맞겠다. 우측으로 내려서서 진행을하면 20여분을 길게 내려서서 다시 능선이 양쪽으로 갈리는 지점에 닿는다. 어느 쪽이 상오정마을로 가는 것이 맞는지 확실해 보이는 능선은 없다. 등고선으로 보니 여기서도 우측 능선이 맞겠다. 우측으로 내려서니 희미한 길이 나온다. 이 길을 따라 진행하면 6분후 해발 약940봉에 닿고 여기서 다시 5분여 더 진행을하면 삼각점과 삼각점 안내문이 있는 해발 948.7봉에 닿는다. 여기까지 길이 있기도 하고 없어지기도 하니 독도를 잘해가며 내려와야 한다.
무주 상오정마을 입구(13.40km) 11:56 ~12:00
삼각점봉에서 상오정 방향은 우측으로 방향을 꺽어서 내려서야 한다. 잠시후 내려서는 확실한 길이 보이고 점차 내려서면 묵묘가 나오고 이후 한동안 내려서면 길이 없어지며 잡목숲에 빠진다. 잡목숲을 헤치며 능선을 고집하며 내려서다 보면 우측으로 잘 가꾼 산소가 여러기 있는 곳이 보인다. 잠시 우측으로 돌아서 산소 앞에 닿고 나면 산소진입로를 따라 내려서게 된다. 좌측으로 철조망이 쳐져 있는 안쪽으로 드릅나무, 엄나무, 오가피나무를 가꾸는 것이 보이고 잠시 내려서면 세멘트 길이 나오고 좌측으로 방향이 바뀌어 내려서면 우측으로 오정가든이 보이는 개천을 건너는 다리에 닿는다. 다리를 건넌후 우측으로 소로길을 따라 나가면 상오정 마을 입구인 차량을 주차한 곳에 닿는다. 이렇게 하여 무사히 흥덕산과 투구봉으로 돌아서 원점회귀산행을 마무리 했다.
적상면 조금재 터널 임도 12:45 ~13:45
이제 산행을 마무리하고 점심은 미리 준비한 인절미와 절편으로 차량을 이동하며 든다. 이렇게 진행을하면 삼공리 앞 삼거리를 지나고 무주리조트앞 삼거리를 지나서 좌측으로 돌아서 가면 구천동터널을 지나고, 치목재 터널을 지나서 무주에서 안성으로 가는 도로에 닿은후 적상면에서 좌측으로 돌아가면 진안방향으로 가는 도로다. 이 도로를 따라 진행하여 삼유리에 닿기 전 조금재 터널 앞 임도를 따라 들어가 작년에 조금 땃던 취나물 두어꼭지 따고 나오는대 1시간이 소요된다.
적상면 삼유리 도촌마을 임도 14:30 ~16:30
조금재 터널앞 임도에서 조금재 구 터널을 지나서 가면 잠시후 삼유리 삼거리에 닿는다. 여기서 좌측으로 들어가면 상류마을까지 이어지는 길이다. 이 길을 따라 가다가 좌측으로 들어가면 도촌마을이 나온다. 마을을 지나 계속 진행하면 차단기를 지나서 임도 길로 올라가는 길이다. 커다란 느티나무를 지나고 이후 세멘트 임도길을 따라 진행하면 위쪽에서는 비포장 임도길을 따라 진행하여 상대곡 마을 쪽에서 오는 임도와 만나는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올라가면 꼬불꼬불 임도길을 따라 올라서 능선에 닿는다. 임도 길은 무주안성까지 연결이 되는 임도 길이다. 작년에 무주지맥 산행을 하며 봉화산으로 향하던 곳이다. 여기다 차량을 주차하고 산길을 따라 올라가는 대 작년에는 별로 보이지 않던 고사리가 많이 났다. 첫 번째 봉을 넘고 봉화산으로 향하는 능선으로 작년에는 고사리가 많이 낫었는대 올해는 고사리가 안 보인다. 허탕을 치고 이미 커버린 드릅 몇 개 골라서 따고는 하산을 하느대 두어시간이 걸렸다. 이렇게 하여 오늘 계획했던 일정을 무사히 마치고 집으로 향한다.
돌아오는 길
삼유리 도촌마을 임도를 따라 내려서서 도촌마을 지나 삼유리 사거리에서 우측으로 진행하여 큰 도로에 닿은 후 진행하면 30여분 후 무주톨게이트에 닿는다. 이후 고속도로를 따라 진행하여 남대전을 지나고 비룡분기점에 닿기 전 안양리에서 오는 고속도로와 만나는 지점부터 차량이 정체가 되기 시작한다. 서다 가다가를 반복하며 대전을 지나고 회덕을 지날때까지 정체가 되어 신탄진을 지나며부터 정체가 풀린다. 오늘이 노동절이라 나들이객들이 많이 나온 것을 이제야 알았다. 신탄진을 지나고 죽암휴게소에 들러 차량 연료를 4만원어치 채우고 진행하여 서청주 톨게이트를 18시 15분 통과하여 집에 도착을 하니 18시 30분이다.
오늘도 이렇게 하여 산행을 겸한 별로 소득은 없었지만 나물산행까지 무사히 마치고 집으로 돌아왔다.
산행시간 : 5시간 02분 소요
산행거리 : 13.40km
고속도로 통행료 왕복 : 10200원
차량 연료 : 4만원
~~~~~~~~~~~~~~~~~~~~~~~~~~~~~~~~~~~~~~~~~~~~~~~~~~~~~~~~~~~~~~~~~~~~~~~~~~~~~~~~~~~~~~~~~~~~
무주 흥덕산~투구봉
청주~무주 토비스콘도(전북 무주군 무풍면 삼거리 산 42-1) :119km, 1시간 35분 통행료 5100원
청주 ~대전 : 약 60분 4400원 6:20, 6:27, 34, 7:14,21,41등 막차 22시
대전 ~구천동 : 7:20(9:00), 13:30(15:10), 16:10(17:50), 18:30(20:10) 1시간 40분 9700원(무주 5000원)
무주 ~구천동 버스시간 : 8:20(구천동,상오정,빼재 약9:30), 11:00(상오정), 13:00(빼재), 16:10, 17:50
무주~구천동 직행 : 8:10, 14:00, 14:25, 17:05, 18:10, 19:25
무주 ~무풍 : 10:00, 11:40,13:30,14:50,16:30(35분 소요)
***빼재터널입구 ~신풍령 : 2.2km, ***상오정교 전 우측 주차 : 무주군 무풍면 삼거리 252-4
***상오정교~문리버 임도입구 : 1.1km. 문리버 ~임도길 모퉁이위 : 3.7km(세멘길에서 630m 고도965m에서 20m 오르면 백두대간 능선 985m)
***상오정삼거리 ~무주네버랜드 간판에서 우측으로(980m) -내려서서 가장 우측길로 진행
구천동~대전 : 7:45(9:25),9:00(10:40), 15:20(17:00), 18:40(20:20) 9700원
구천동 ~무주 : 7:25, 9:35, 12:15, 14:15, 17:15, 18:55
무풍 ~무주 : 14:45(덕지 14:35, 칠목교 건너 칠목정류장 정차),16:20 **칠목마을~고도공원정류장 : 1.5km
무주 ~대전 직행 : 7:00,40, 8:35, 9:00,50, 10:30,11:30,12:00,13:25,14:35,15:30,16:10,40,17:45,19:30,20:45
무주 ~영동 : 17:25, 18:25, 19:30등, 영동역~조치원역 : 19:11~20:13(5300원, 3700원), 19:27~20:43(충북선)
무주리조트 셔틀버스
무주출발 : 5:00, 7:30, 10:30, 16:30
구천동~리조트 : 05:40, 8:10, 11:00, 리조트~구천동 : 9:30, 15:30, 18:30, 21:10
상오정 ~빼재 : 약4km
덕유산(德裕山) 빼봉⧍1039.9m~갈미봉⧍1210.5m~대봉⧍1263.2m~흥덕산⧍1283.1m~투구봉⧍1,276.3m
산행코스 : 신풍령(수령) 7:35 –이동통신탑 7:46 –백두대간 능선 –삼각점 7:51 –삼각점 7:54 –빼봉(삼각점, 1039.9m) 8:15 –신풍령쉼터(구급함) 8:26 –갈미봉(1210.5m) 09:02 –조망 09:06 –안부 09:17 –대봉( 1263.2m, 20분 백두대간에서 우측으로 이탈) 09:33 -폐헬기장 10:09 –흥덕산(1283.1m) 10:27 –안부 10:44 –투구봉(삼각점, 1276.3m) 10:50 –산죽길 11:21 –갈림길 주의 11:40 –무덤 11:53 –갈림길 12:11 –임도(12분) 12:16 –원당천 –상오정마을(전북 무주군 무풍면 삼거리, 약640m) 12:35
산행시간 : 5시간 10분
산행거리 : 10.11km
무주 흥덕산 산행
산행일시 : 2015. 7. 14 (화요일)
산행코스 : 수령(빼재)-갈미봉-대봉-흥덕산-투구봉-구천교
산행거리 : 약 10.16km
산행시간 : 5시간 56분(11:31~1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