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16 김천 염속봉산~연봉산~글씨산~빌무산~칫솔산~고당산 2021.12.23.목요일 맑음(미세먼지)
김천 염속봉산~연봉산~글씨산~빌무산~칫솔산~고당산
염속봉산679.3m,연봉산704.9m,글씨산757m,빌무산783.6m, 칫솔산536.4m,고당산603.5m
2021.12.23.목요일 맑음(미세먼지)
참석인원 : 천봉산악회 35명
청주 07:30 –죽천교 07:45 –청주 톨게이트 08:00 –추풍령휴게소 08:58 ~09:08 –김천톨게이트 09:17 –감천면 –살티재(해발 395m) 09:45 ~09:46 –오르막길 –산소 –우꺽임봉(0.393km, 약465m) 09:54 –오르막 통나무계단1. 2 상당히 김. 3 –임도(송신탑 정문, 1.36km, 약679.3m) 10:13 –세멘트임도따라 잠시 내려서 우측 세멘트 계단올라서면 염속봉산 표지판(1.44km) 10:14 –세멘트 길 내려서면 세멘트길은 우측으로 내려서 살티재로, 좌측 비포장 임도, 중간 능선으로 진행 –오르막 통나무계단 –폐 헬기장(1.70km, 약685m) 10:19 –좌측으로 꺽여서 내리막길 –오르막 통나무계단 –해발 약675봉 –살며시 내려섰다 오르막길 – 오르막 통나무계단 –오르막 소나무숲길 – 연봉산 정상(우꺽임, 2.37km, 약704.9m) 10:28 –약704봉 –700봉 –잠시후 좌측 글씨산 삼거리(우꺽임, 2.77km, 약695m) 10:35 –내리막 통나무계단 –큰바위 지나서 안부 –서서히 올라서 –좌꺽임(3.34km, 약625m) 10:42 –뾰족한 바위 –앞쪽으로 글씨산 봉우리 2개 보이고 –오르막계단 –우 꺽임봉(3.71km, 약675m) 10:47 –내리막 계단 –오르막길 –좌측으로 염속산 능선 조망 –좌 꺽임봉(3.98km, 약675m) 10:52 –염속산 방향 조망바위 –오르막 큰바위들 지나 –글씨산 정상(정상석, 글씨산 안내문, 이정표 염속산 정상 6.9km, 빌무산1.9km, 4.24km, 약757m) 10:58 –200m 진행 급우틀 –내리막 계단 –46번 송전탑(4.60km, 약670m) 11:04 –오르막길 –우 꺽임봉(5.20km, 약750m) 11:13 –좌 꺽임봉(,송이막터, 5.30km, 약757m) 11:14 –약755봉(5.40km) 11:16 –내리막 계단 1.2 –바윗길 –내리막계단 3.4 –안부 –오르막계단 –빌무산(좌 꺽임, 삼각점, 6.0km, 약783.6m) 11:30 –높다란 안테나 앞봉(급 좌틀, 6.40km, 약768m) 11:34 –내리막길 –쉼터봉(우 꺽임, 7.02km, 약630m) 11:44 –서서히 내려서는 걷기 좋은 길 –묵묘(우 꺽임, 7.26km, 약580m) 11:47 –서서히 내려서다 평탄한 걷기 좋은 길 –안부 –오르막 계단 – 우 꺽임봉(우측 우회길 로프, 7.90km, 약578m) 11:56 –좌꺽임봉(8.10km, 약575m) 11:59 –내리막 계단 –오르막계단 –좌 꺽임봉(8.50km, 약520m) 12:04 –내리막 계단 –소나무숲 –내리막계단 –안부고개(옛성황당터, 양쪽으로 옛길 흔적 있음, 8.76km, 약500m) 12:08 –오르막 계단 –칫솔산(삼각점, 의자, 8.97km, 536.4m) 12:14 –내리막계단 –꼬불꼬불 평탄한 –내리막 계단 1.2.3.4 –평탄한길 –잠시 오르막 계단 –평탄한길 –내리막계단 –서서히 오름길 –오르막 계단 –삼거리(좌측으로, 우측 용암리 하산길, 11.02km, 약560m) 12:45 –오르막길 –전망대(11.22km, 약595m) 12:49 –별미령 삼거리 이정표(11.50km, 약590m) 12:54 –소나무숲 –헬기장(11.73km, 약590m) 12:58 –내리막 계단 –바위지대 로프길 –오르막계단 –고당산(11.87km, 약603.5m) 13:03 –되돌아서 –헬기장 –별미령 삼거리(12.21km, 약590m) 13:09 –내리막길(소나무숲길) -삼거리(우측으로, 약530m) 13:18 –내리막 계단 1.2 –안부(잣나무, 13.74km, 약365m) 13:30 –잠시 올라 봉(별미령 뱃지) -내리막 계단 -별미령 도로(14.00km, 약350m) 13:33 –용암2리 버스정류장(15.32km, 약290m) 13:50 ~14:57 –차량이동 –무릉2리 버스정류장 15:08 ~15:42 –김천톨게이트 16:04 –옥천휴게소 16:39 ~16:48 –청주 톨게이트 17:20 –죽천교 17:36 –집 17:42
~~~~~~~~~~~~~~~~~~~~~~~~~~~~~~~~~~~~~~~~~~~~~~~~~~~~~~~~~~~~~~~~~~~~~~~~~~~~~~~~~~~~~~~~~
티재(405m)
들머리인 살티재(405m)는 김천시와 성주군을 연결하는 고개로서 금오지맥이 지난다.
살티(전치 箭峠)는 화살과 관련된 이름으로 살치재 또는 전령(箭嶺)이라고 하고, 또 주음시라고도 한다.
주음시는 이곳에서 화살(시·矢)을 줍는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고, 살티재 아래 대방리에도 궁항(弓項), 성궁, 활목, 활미기 등 활과 관련된 지명이 있다.
수도산에서 갈라진 금오지맥(金烏枝脈)은 삼방산, 염속산, 염속봉산, 빌무산 등 굵직굵직한 산을 올려 세우고는 금오산에 접어 들어 감천으로 떨어지는 80km가 조금 넘는 산줄기를 말한다.
예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 배치지로 염속산과 빌무산이 거론된 적이 있었다.
이 계획은 여러사정으로 불발되었고, 지금은 원래 계획대로 배치되었다.
예전 부상고개에서 금오지맥을 따라 금오산을 오르며 대강의 위치를 짚어보며 돌아본 적이 있었고, 또 백마산에선 그곳을 바라본 적이 있었다.
지금은 지도에서 마저 사라져버려 확인이 잘 되지 않는다.
염속봉산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봉학리에 소재한 산이다. 정상에는 KT송신소가 있다. 기존 사드 발표기지인 성산포대(해발 383m)가 문제가 되자 제3후보지를 물색한바 이중에 염속봉산이 들어갔다
제3후보지는 초전면 성주골프장과 금수면 염속봉산, 수륜면 까치산 등 3곳으로 알려졌다. 국방부에서는 자체 실무조사 결과 염속봉산과 까치산에 대해선 부적합 판정을 내린 바 있어 제3후보지로는 성주골프장이 유력시 된다.
염속봉산(厭俗峰山 679.3m)은 '디지털김천문화대전'에는 속봉산(粟鳳山)으로도 부르고 있고, 또 살티재 서쪽에 염속산(厭俗山 872.5m)이 따로 있으니 정확히 알 길이 없다.
지금은 염속봉산에 시설물(KT중계소)이 들어서 접근조차 할 수 없다.
다만 염속(厭俗)이란 말은 속세가 싫다는 의미이니 누군가 속세를 떠나 글씨산을 오가며 도라도 닦았던 모양.
그래도 그렇지, 세속이 싫어 산속으로 숨어들어 도를 닦았다면 무슨 학문한다고 먹갈아 글씨를 썼을까?
기껏 기행을 일삼으며 3차원의 정신세계를 넘나 들었겠지.
아무래도 먹갈아 글씨를 쓰는 건 양반집 선비들한테나 더 잘 어울릴 것.
연봉산
연봉산(704.9m)은 지금은 훼철된 성주군 벽진면 해평리에 있었던 천곡서원(川谷書院)의 옛이름이 연봉서원(延鳳書院)이었고,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도 '성주자산리고분군(星州紫山里古墳群)은 연봉산(延鳳山) 동쪽 구릉 상에 위치한다'라고 하였다.
연봉산(延鳳山)은 봉황이 내려와 앉았다고 해서, 또는 봉황을 맞이한다고 해서 붙은 이름일 것.
글씨산
글씨산은 옛날 선비가 도를 닦기위해 은신 수도했다고 붙은 이름이라지만 지형도엔 이 767m봉 서쪽에 453.8m 글씨산이 올려져 있다.
빌무산
경북 김천시 조마면 신왕리에 소재한 산이다. 북쪽으로 별미령 지나 고당산과 연결된다. 삼각점이 있다.
빌무산은 별뫼산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보인다.
별뫼란 밤하늘의 별처럼 아름답다는 뜻이니 예사롭지 않아 보이고, 날머리 마을인 용암2리가 별뫼마을, 고당봉과 백마산 사이의 고개를 별미라고 하는데, 이 또한 별뫼에서 변이된 이름으로 보인다.
치솔산(536.4m)은 치솔산(齒率山)으로 쓰고 있는 게 더러 보이지만 정확한 이름의 어원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고당산(姑堂山)
김천시 감천면 무안리 외안마을로부터 남동쪽으로 약 2.3㎞, 조마면 신왕리 송정마을로부터 북동쪽으로 약 2.4㎞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 봉우리이다. 백두대간에서 수도산(修道山)으로 이어진 산줄기 중 일부가 북쪽으로 뻗어 가래재, 부항현, 염속산을 지나 북쪽으로 이어진 산줄기에 위치한다. 이 산줄기는 고당산에서 동쪽으로 뻗어 백마산, 영암산을 지나 금오산으로 이어지게 된다. 감천면 옹호리의 고방골에는 신라 눌지왕 때 창건된 고방사(高方寺)[현재는 농소면 봉곡리에 위치함]라는 절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고당산(姑堂山)이라는 지명은 과거 이곳에 있던 고방사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당산을 중심으로 산지의 능선은 사방으로 이어져 있다. 고당산의 북쪽 방향의 능선은 대체로 200~300m의 낮은 높이를 보이고, 남쪽 방향의 능선은 높이가 높아 고당산에서 바로 남쪽에 위치한 빌무산은 783.6m를 이룬다. 고당산에서는 사방으로 하천이 발원하여 흘러내려 가는데, 북동쪽 사면에서는 율곡천이 농소면 한복판을 지나 감천으로 유입되며, 북서쪽, 서쪽, 남서쪽 사면에서는 대방천의 지류 하천들이 발원하여 대방천에 유입된 후 북류하여 역시 감천에 유입된다. 한편, 남동쪽 사면에서는 이천이 발원하여 성주군 벽진면, 성주읍을 지나 낙동강으로 흘러간다. 고당산은 이 일대에서 고도가 높고 산세가 험한 편이라서, 토지 이용이나 개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지형 경관과 산림의 보존이 매우 양호한 편이다. 고당산에 가장 인접한 도로는 고당산과 동쪽의 백마산 사이의 안부(鞍部)에 위치한 작은 고개인 별미령을 통과하는 군도이며, 김천시 감천면 무안리의 외안마을, 무릉마을과 조마면 신왕리의 소정마을 등에서도 좁은 골짜기를 따라 고당산 정상부로의 접근이 가능하다.
~~~~~~~~~~~~~~~~~~~~~~~~~~~~~~~~~~~~~~~~~~~~~~~~~~~~~~~~~~~~~~~~~~~~~~~~~~~~~~~~~~~~~~~~~~
청주 07:30
오늘은 오래전부터 가려고 하던 김천의 염속봉산~글씨산~빌무산~고당산 가는 날이다. 이곳에 가려고 대중교통편까지 물색을 해놓고 저번 달에 김천 용문산~황간 동무골산~마암산 산행후 차일피일 미루고 있던 참에 천봉산악회에서 공지가 올라와 잘됐다 싶어 가기로 한다. 오늘 가는 염속봉산~고당산까지는 수도산 서봉에서 시작된 금오지맥길로 삼방산, 염속산을 넘어 금오산으로 가기 전에 있는 산들이다. 오늘도 체육관에서 07시 30분 출발하는 버스를 타기 위하여 집에서 같은 시간에 나와 죽천교에서 07시 45분 출발한다.
살티재(해발 395m) 09:45 ~09:46
죽천교를 출발한 버스는 몇 군데를 정차후 청주 톨게이트로 진입을 하여 경부고속도로를 따라 진행을 한다. 대전을 지나고 옥천 영동 황간을 지나 추풍령휴게소에서 잠시 정차를 한후 다시 달리기 시작하면 몇 분후 김천톨게이트를 빠져나온다. 이후 김천 직지사천 강변길을 따라 달리다가 김천대교 건너기 전 우회전하여 잠시 가면 철다리 조금 못 미처에서 좌회전하여 김천교를 건너면 좌측으로 보이는 조그만 산이 황산이라고 한다. 인공폭포가 있는 뒷산이다. 여기서 잠시후 삼거리에서 우측편 길을 따라 진행을 하게 된다. 좌측길은 김천구미역 방향이다. 우측으로 진행을 하면 좌측으로 보이는 능선은 오늘 산행을 하게되는 살티재에서 고당봉까지 이어지는 금오지맥길에서 좌측으로 분기한 능선이다. 이후 진행을 하면 감천면소재지를 지나고 좀 더 가면 도평보건진료소(GS칼텍스 주유소)가 있는 곳에서 좌측으로 있는 길이 별미령으로 가는 가장 가까운 길이며, 여기서 직진으로 올라가면 조마농협, 대방리를 거쳐 김천의 가장 끝 지점인 살티재에 도착을 하게 된다.
염속봉산 표지판(1.44km) 10:14
살티재 정상 염속봉산 방향 이정표에 빌미산 6.2km가 적혀 있다. 이곳으로 오르기 시작한다. 입구에 커다란 노거수가 한 그루 있다. 임도를 따라 오르려면 성주방향으로 조금 내려가서 시작하면 된다. 서서히 오르기 시작하는 숲길을 따르면 잠시후 산소를 한기 지나고 잠시 더 오르면 능선이 우측으로 방향이 꺽이는 봉이다. 잠시 평탄한길을 따르다가 다시 오르기 시작하면 통나무 계단길이 시작된다. 도중에 바위를 돌아 오르는 곳이 한군데 있고 이후로는 소나무 가득한 길로 힘은 들어도 길은 좋은 편이다. 계단길 첫번 째를 오르고 두 번째계단은 상당히 길게 이어진다. 세 번째 계단을 올라서면 다소 산길이 완만해 지며 점차 오르면 풀섶이 나오고 잠시후 널찍한 세멘트 임도가 나온다. 우측 편으로 송신탑 정문이 있다.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지 녹이 슬어 열릴지나 모르겠다. 여기서 세멘트 임도를 따라 좌측으로 조금 내려서면 우측으로 오르는 세멘트 계단이 보이고 그 위쪽 송신탑 철조망이 있는 평탄한 곳에 염속봉산 표지판이 있다. 여기서 우측으로 다시 칠봉지맥길이 분기 되기 때문에 칠봉지맥 분기점 표지판도 보인다. 칠봉지맥은 성주 방향으로 뻗은 500m급의 낮은 산줄기다.
연봉산 정상(우꺽임, 2.37km, 약704.9m) 10:28
염속봉산 표지판에서 내려서서 세멘트 임도를 따라 잠시 내려서면 세멘트 임도는 염속봉산을 한바퀴 돌아서 우측으로 내려서서 살티재 성주방향 쪽으로 내려서고 좌측으로는 비포장 임도가 나온다. 여기 비포장 임도길 우측편 능선으로 따라 진행을 하면 좌측편 염속산줄기가 눈에 들어오고 점차 오르기 시작하면 오르막 통나무계단이 설치되어 올라서면 폐 헬기장에 닿는다. 여기서 산길은 좌측으로 방향이 꺽여서 내려선다. 이후 잠시 진행을 하면 오르막 통나무계단을 올라서서 해발 약675봉에 닿고 다시 살며시 내려섰다가 오르막길에 닿는다. 오르막 통나무계단을 따라 오르면 굵직한 소나무숲길이 이어져 연봉산 정상에 닿는다. 정상 표지판이 있으며 흰색으로 된 정상표지판도 하나 더 있다. 소나무 신갈나무로 사방이 가로 막혀 조망은 없다.
글씨산 정상(정상석, 글씨산 안내문, 이정표 염속산 정상 6.9km, 빌무산1.9km, 4.24km, 약757m) 10:58
연봉산에서 우측으로 방향이 꺽여서 진행을 하면 잠시후 704봉이 나오고 다시 조금 더 가면 해발 약700봉을 넘는다. 이후 200m 가량을 더 가면 삼거리로 좌측길은 대방저수지 위쪽에 있는 해발 453.8의 글씨산으로 가는 길이고 지맥길은 우측으로 급틀하여 내려서게 된다. 내리막길에는 통나무계단이 설치되어 있으나 낙엽이 많이 쌓여 어떤 곳은 없는 편이 나은곳 도 있다 이렇게 내려서면 커다란 바위가 나오고 좌측으로 돌아서 가면 안부에 닿는다. 이후 서서히 올라서면 좌 꺽임봉인 해발 625봉으로 잠시후 뾰족한 바위가 나오고 앞쪽으로 글씨산의 두 봉우리가 보이기 시작한다. 이후 오르막 계단을 올라서서 우꺽임봉인 해발 약675봉을 올라서고 내려서는 곳에 계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후 오르막길이 시작되고 좌측으로 염속산 능선이 조망된다. 이후 조금 더 올라 좌 꺽임봉인 해발 약675봉을 넘어서 다시 오르기 시작하면 염속산 방향으로 조망이 좋은 바위가 나온다. 이후 오르는 능선으로는 커다란 바위들이 줄지어 있으며 그 끝지점에 글씨산 정상이 나온다 여기 이정표에 염속산 정상 6.9km, 빌무산 1.9km가 적혀 있다. 모처럼 자연석으로 된 정상석이 있으며, 글씨산에 대한 내력이 적혀있는 대리석표석이 있다. 여기에 글씨산은 옛날 선비가 도를 닦기 위해 은신 수도 했다해서 붙여진 이름이라 적혀 있다.
빌무산(좌 꺽임, 삼각점, 6.0km, 약783.6m) 11:30
글씨산 정상에서 200m 정도를 가면 능선이 우측으로 급격히 꺽이며 급하게 내려선다. 내려서는 지점은 통나무계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끝지점에서 46번 송전탑이 나온다. 다시 오르기 시작하면 능선은 우측으로 방향이 꺽이는 해발 약750봉을 지나 2분여 더 가면 능선이 좌측으로 급틀하는 지점에 부서진 송이막이 보인다. 이후 2분이면 여러갈래진 신갈나무가 있는 해발 약755봉에 닿고 내리막 계단을 내려서고 다시 두 번째 계단을 내려서면 커다란 바위들이 있는 바윗길을 지나 다시 내리막 계단을 두 번에 더 걸쳐 내려서서 안부에 닿은후 이어 오르기 시작하면 길게 이어지는 통나무 계단을 따라 올라서서 빌무산 정상에 닿는다. 빌무산 정상에는 삼각점이 있으며 오늘 산행중 가장 높은 봉이다. 성주 사드기지가 처음에는 이곳과 염속산에 들어선다고 했는대 이루지 못하고 금오산 아래지점 어디엔가에 설치가 되었다고 한다. 이곳에 사드기지가 설치되었다면 아마오늘 이곳에 오지 못했을지도 모른다.
칫솔산(삼각점, 의자, 8.97km, 536.4m) 12:14
빌무산에서 좌측으로 진행하면 능선이 둥그렇게 우측으로 돌아가서 해발 약770봉을 넘어서면 앞쪽으로 높다란 안테나가 보이기 시작한다. 안테나를 지나서 해발 약768봉으로 오르기 조금 전에서 좌측으로 90도 꺽어서 내려서야 한다. 선두로 가던 님들이 여기서 잠시 지체가 되어 조금 뒤쳐진 팀들과 합류가 된다. 좌측으로 진행을 하여 조금 가파르게 내래서게 되면 다시 산길은 평탄하게 이어지며 걷기 좋게 되며 모처럼 쉬어 가라고 의자가 있는 쉼터에 닿는다. 여기서도 서서히 내려서는 걷기 좋은 길을 따라 진행하면 우측으로 방향이 꺽이는 지점에 묵묘가 한기 있다. 이후 서서히 내려서면 앞쪽으로 두 개의 산이 보이는대 좌측이 고당산이요, 우측 조금 더 높은 산이 백마산이다. 이후 평탄한 걷기 좋은 길을 따라 진행하면 안부에 닿는다. 안부를 지나 오르막 계단을 올라서고 우측으로 방향이 꺽이며 해발 약578봉을 우측으로 우회하여 가는 곳에 굵직한 로프가 쳐져 있다. 이후 능선에 닿은 후 진행하면 2~3분후 좌측으로 방향이 꺽이는 해발 약575봉에 닿고 다시 내리막 계단을 따라 진행한후 안부를 지나 오르막 계단으로 올라서면 좌 꺽임봉인 해발 약520봉이다. 소나무와 신갈나무 잡목봉이다. 여기서 낙엽속에 묻혀 있는 통나무계단을 따라 내려서고 소나무숲길을 따라 내려서면 다시 내리막계단이 나온다. 이렇게 내려서면 작은 돌무더기 흔적이 남아 있는 성황당터로 보이는 안부고개에 닿는다. 양쪽으로 오래 전에 다닌 흔적이 남아 있다. 좌측편 송정저수지 방향은 길이 확실히 보인다. 이후 오르막계단을 따라 올라서면 삼각점이 있고 의자가 설치된 칫솔산 정상이다. 조망은 썩 좋지는 못하다.
고당산(11.87km, 약603.5m) 13:03
여기부터 별미령, 고당산 삼거리까지 2.5km다. 칫솔산에서 내리막 계단을 따라 내려서고 이리저리 꼬불꼬불 이어지는 산줄기를 따라 진행을 하면 우측으로 오늘 산행 끝지점인 성주군 벽진면 용암리 마을이 보이는 곳이 나온다. 이렇게 진행하면 짧막한 내리막 계단을 1.2.3,4 네 번에 걸쳐 내려서고 이후 평탄한 소나무숲길을 따라 한동안 진행을 하면 잠시 오르막 계단이 나온다. 이후 다시 산길은 평탄하게 진행이 되어 내리막 계단을 지나 가장 낮은 안부에 닿는다. 이후 서서히 오르기 시작하면 다시 오르막 통나무계단이 나오고 능선 삼거리에 닿는다. 우측으로 빠지는 길은 용암리로 내려서는 길이고, 좌측으로 능선을 따라 조금은 가파르게 올라서게 되면 대략 200m를 더 올라서 전망대가 나온다. 지나온 산줄기와 건너편 염속산을 한눈에 살펴 볼수 있는 곳인대 부연하니 미세먼지가 많이 끼여 산불이 나서 연무에 쌓인듯하고 좌측으로 용암리 마을도 보인다. 여기서 다시 진행을 하면 능선은 완만하고 평탄하게 진행이 된다. 여기도 소나무숲길을 따라 진행을 하게 되고 산길은 좋은 편이다. 이렇게 진행을 하면 전망대에서 300m를 진행하여 별미령과 고당산이 갈리는 삼거리에 이정표가 있다. 고당산 0.4km, 빌무산 정상 5.5km, 별미령 1.8km가 적혀 있다. 여기서 고당산으로 향한다. 그윽한 소나무숲길을 따라 진행하면 4분후 세멘트로 포장이 된 헬기장에 닿는다. 여기서 계단을 따라 내러선후 다시 오르는 곳은 커다란 바위지대로 로프가 매여져 있어 잡고 오르면 이후 통나무계단을 따라 고당산 정상에 닿는다. 정상에는 정상석이 있으며 빌무산 5.9km, 별미령 2.2km가 적혀 있다. 조망은 썩좋은 편이 아니다. 좌측으로 난길은 무릉리나 신왕리 공원묘지로 빠지는 길로 보인다.
별미령 도로(14.00km, 약350m) 13:33
고당산에서 다시 돌아 내려온다. 통나무계단을 따라 내려서고, 바위지대 로프를 잡고 내려서서 안부에서 잠시 통나무계단을 따라 올라서면 헬기장이다. 먼저온 님들이 여기서 점심식사중이다. 우리는 그냥 하산을 실시하여 소나무숲길을 따라 별미령 삼거리 이정표에서 좌측으로 내려서기 시작한다. 길은 여기 좋은 편이다. 낙엽이 수북히 쌓여 있고 그윽한 소나무숲길로 그리 어렵지 않게 내려선다. 10여분을 내려서면 삼거리에 닿는다. 좌측길이 더 좋지만 이길은 백련사와 고방사가 있는 봉곡리로 내려서는 길이다. 우측으로 내려서면 한동안 내려서서 야산지대에 이르면 내리막 계단이 나온단. 두 번에 걸쳐 내려서면 안부에 닿는다. 잣나무가 내려서는 곳과 올라서는 곳에 조림되어 있는 지역이다. 여기서 올라서면 낮은 봉인데 여기서 별미령 뱃지를 준다. 봉을 넘어서 표지기가 우측으로 붙어 있기도 하지만 좌측으로 능선을 따라 내려서는 것이 길이 좋다. 내리막에는 통나무계단이 설치되어 있어 천천히 내려서면 별미령 도로 좌측편 용암리 방향으로 떨어진다. 길건너편 이정표에 고당산 정상 2.2km, 벡미산 정상 3.0km가 적혀 있다.
용암2리 버스정류장(15.32km, 약290m) 13:50 ~14:57
이제 용암리로 향한다. 마지막 1.2km를 도로를 따라 걷는다. 별미령 고갯마루를 넘어서 내리막 도로를 따라 진행을 하면 우측으로 축사도 보이고, 내러서면 늘봄새송이 농원을 비롯하여 버섯 재배사들이 많이 보인다. 이곳을 지나 앞쪽에 보이는 칫솔산을 구경하며 진행하면 어느덧 백마교회종탑이 보이고 잠시후 우리버스가 주차되어 있는 것이 보인다. 버스 옆으로 용암2리 버스정류장이 있다. 성주에서 여기까지 버스가 운행되고 있어 이곳이 마지막 종점인 것 같다. 잠시후 도착한 성주 버스가 여기서 되돌아 간다.
이렇게 하여 살티재에서 시작한 산행은 이곳에서 마무리를 짓는다. 살티재에서 별미령까지 14km, 별미령서 마을까지 대략 해서 1.2km 산행거리 총 15.3km정도가 나온다.
오늘 산행은 산길이 좋은 편이라 거리에 비해서 산행시간이 짧았다.
돌아오는 길
용암2리 백마교회가 있는 마을앞 버스정류장에 도착하여 차차로 회원들이 도착을 하고 칫솔산에서 하산을 하시는 분들이 하산을 하면 길이 좋지를 않아 고생을 햇는지 힘들어 하는 표정이다. 또한 하산길을 잘못 택해 용암1리 방향으로 1.8km 지점으로 내려서 버스로 데려오기도 하며 기다려 용암리로 내려오는 마지막 분을 태우고 이제 다시 별미령으로 향하여 마지막 한분 가장 나이가 드신 분이 내려오기를 기다려 14시 47분 별미령을 출발하여 봉곡리삼거리에서 좌측으로 진행하여 능선을 넘어서 고당산 동쪽 편에 있는 무릉2리 버스정류장 자실이마을입구에서 잠시 뒷풀이를 한후 김천톨게이트를 거쳐 고속도로에 진입하여 달리다가 옥천휴게소에서 잠시 정차하여 휴식후 달려 대전을 지나고 청주 톨게이트로 빠져나와 죽천교에 17시 36분 도착하여 집에 들어오니 17시 42분이다.
오늘도 이렇게 하여 천봉산악회와 함께 산행을 하였다.
함께한 천봉산악회원님들 수고 많았습니다.
산행시간 : 4시간 03분
산행거리 : 15.32km
~~~~~~~~~~~~~~~~~~~~~~~~~~~~~~~~~~~~~~~~~~~~~~~~~~~~~~~~~~~~~~~~~~~~~~~~~~~~
김천 염속봉산~연봉산~글씨산~빌무산~칫솔산~고당산
조치원역 ~김천역 : 7:28 ~09:04, 08:10 ~09:33 8100원
김천역~조치원역:16:28~17:58, 17:14~18:32(12000원), 17:36~19:09, 18:01~19:31, 18:45(새), 19:05~20:46
***김천역 ~김천공용버스터미널 : 약950m 15분 소요,
***김천역 좌측 역전파출소옆 평화육교로 올라가 육교 내려서 우측 골목으로 ~ 도로건너 좌측으로 터미널
김천시외버스터미널(하나로마트정류장)~용호2리 : 72, 772,772-3, 882-3, 772-2번
72번 7:10,7:45,11:00,13:00,16:30,20:15,21:30, 772번 12시, 772-2번 08:10,14:10, 19:00
772-3번 사기점행 10:00, 15:20, 18:30 882-3번 9:25(송정정류장 하차) 40분 소요 1600원
김천 시외버스터미널(하나로마트정류장) ~수방정류장 : 72-3번, 772-3번 : 10:00, 15:20, 18:30
사기점~김천시외버스터미널 ; 사기772-3번 10:55, 16:10, 19:10
**수방정류장 ~살치재 : 약2km 대방발 15:00,16:10(사기점),17:10, 봉곡사실발 13:45 16:50 19:50
***김천시외버스터널~봉곡2리(사실)정류장:김천13-3, 좌석 김천113-4, 김천14-3, 좌석김천114-3번
13-3번 9:15, 16:15, 13-4 114-3번 13:05,
김천,염속봉산(670)~연봉산(705)~글씨산(757)~빌무산(783.6)~고당산(596.8)
살치재~염속봉산(670)~연봉산(705)~글씨산(757)~빌무산(783.6)~치솔봉(536.2)~고당산(596.8)~별미령
(6시간15분) ***살티재~빌무산: 6.2km, 빌무산~고당산 : 5.2km
산행거리 : 14km, 산행소요시간 : 6시간 30분
***살치재~1.1~염속봉산~1.3~글씨산(-1.2)~3.0~빌무산~5.2~고당산~2.4~별미령
***살티재 <1.4Km> 염속봉산 <1.1 Km>연봉산 <1.9Km> 글씨산 <1.9Km> 빌무산 <3.2Km> 536.4봉 <2.6Km> 고당산 갈림길 <고당산 왕복 0.7Km + 1.8 Km> 별미령